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외보호 아동의 잠재적 정신건강 유형과 위험 요인 분석: 학대 경험과 가정외보호 특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Latent Mental Health Profiles and Risk Factors among Children in Out-of-Home Care : Focusing on Experiences of Child Maltreat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Out-of-Home Care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저자명
김세원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복지연구』제16권 제1호, 107~1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아동의 잠재적 정신건강 유형을 구분하고 아동학대와 가정외보호 특성이 이들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권리보장원의지원·보호아동 및 자립준비청년 패널조사의 2차 예비조사 참여자 가운데 가정외보호를 받고 있는 아동 1,048명을 대상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학대 및 유기, 부모의 빈곤, 실직, 부모의 사망과 이혼 등의 이유로 가정외보호에 배치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외보호 아동은 난점, 불안, 스트레스, 위축/우울,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에 따라 세 개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모든 정신건강 변인의 수준이 낮은 ‘저위험’ 집단(52.0%), 둘째, 스트레스 수준과 위축/우울이 ‘저위험’ 집단에 비해 높은 ‘높은 스트레스와 위축/우울’ 집단(41.2%), 셋째, 모든 정신건강 변인의 수준이 세 집단 가운데 가장 높고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가 잠재적 위험 수준에 해당하는 ‘높은정서문제와 스마트폰 과의존 잠재적 위험’ 집단(6.8%)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정신건강 유형은 아동의 성별, 학대 및 유기 경험, 가정외보호 만족도, 가정외보호에 대한 인식, 보호자 양육태도에 따라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가정외보호 아동의 정신건강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mental health profiles among children in out-of-home care and examine the impact of factors such as child maltreatment and out-of-home care characteristics on these profil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048 children in out-of-home care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wave of the pilot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Children in Need of Protection and Care and Youth Preparing for Independence, initiated and support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the Rights of the Child. Participants were placed in out-of-home care for reasons including child maltreatment and/or neglect and parental poverty, unemployment, death, and/or divorce. The results revealed three distinct mental health profiles based on level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cluding anxiety, stress, withdrawal/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Low-risk” group (52.0%) consistently showed low distress levels across all mental health variables. The high stress and withdrawal/depression group (41.2%) exhibited elevated levels of stress and withdrawal/depression compared to the Low-risk group. The “High emotional problems and potential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group (6.8%) had the highest psychological distress levels across all the mental health variables, with smartphone overdependence reaching a potential risk threshold. These mental health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children’s gender, experiences of maltreatment and neglect, satisfaction with out-of-home care, perceptions of the types of out-of-home care, and caregivers’ parenting attitudes. This paper discuss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developing targete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children in out-of-home ca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원. (2025).가정외보호 아동의 잠재적 정신건강 유형과 위험 요인 분석: 학대 경험과 가정외보호 특성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6 (1), 107-136

MLA

김세원. "가정외보호 아동의 잠재적 정신건강 유형과 위험 요인 분석: 학대 경험과 가정외보호 특성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6.1(2025): 107-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