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경계 형태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 효과 (미국 오하이오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Family Boundaries on Family Functions: The Moderating Role of Family Communication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Ohio in the United States)
발행기관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저자명
손은정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복지연구』제16권 제1호, 39~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가족기능은 대학생들의 생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2019년 하반기~2020년 상반기 동안 미국 오하이오지역 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했고, 그 결과 총 355명이 포함되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Olson(2011)이 고안한 FACES IV에서 파생된 가족경계 (분리된/밀착된 경계, 각 7문항), 가족 의사소통 (10문항), 가족기능 (7문항) 요인이 Brief Survey Form 형태로 적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가족경계 형태 및 의사소통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가족경계와 가족기능 간의 관계가 가족 의사소통으로 인해 조절되는지 탐색했다. 분리된 가족경계와 의사소통이 가족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과도하게 분리된 가족경계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의사소통 기능향상으로 인해 조절되었다. 심하지 않은 밀착경계 가족의 경우, 의사소통 기능이 향상될 때 가족기능이 향상되었고, 과도한 밀착경계 가족은 의사소통이 적절히 조절될 때 가족기능이 향상되었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내 구성원들이 효과적인 가족 의사소통을 구성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적용하고, 맞춤형 가족 개입을 시도하여 균형 잡힌 가족기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Family functions play a crucial role in the liv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mily boundaries and communication on family functions. Data were obtained from 355 undergraduate students in Ohio, United States. Specifically,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collect data on the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disengaged/enmeshed family boundaries, family communication, and overall family function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isengaged boundaries negatively impacted family functioning; however, communication buffered this effect. Additionally, communic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meshed boundaries and family functioning. In families without extreme enmeshment, higher levels of communication enhanced family functioning. However, in families with extreme enmeshment, maintenance of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level positively influenced family functioning.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ostering effective family communication. Educational programs and tailored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balanced family functioning within communitie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목적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논의 및 실천적 함의
7.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은정. (2025).가족경계 형태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 효과 (미국 오하이오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6 (1), 39-72

MLA

손은정. "가족경계 형태가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조절 효과 (미국 오하이오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6.1(2025): 3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