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 실천의 장벽
이용수 155
- 영문명
- Barriers to Home-base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ocial Work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저자명
- 장수미 임정원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복지연구』제16권 제1호, 73~10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생애 말기돌봄에 관한 관심과 함께 환자와 가족이 원하는 곳에서 임종을 지원하는 가정형 호스피스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돌봄, 복지 등 복합적인 욕구를 갖는 재가 생애 말기 환자와 가족에 대한 호스피스 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형 호스피스 사회복지 실천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 8명에 대해 총 2회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시행하고, 주제 분석 방법에 의해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가정형 호스피스 사회복지 실천의 걸림돌이 되는 장벽은 제도적 측면, 실천적 측면, 인식적 측면의 3개 주제, 13개 범주, 109개의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결론에서는 주요 연구 결과에 관하여 심층 논의하고, 가정형 호스피스 사회복지 실천의 발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ging population has stimulated increased interest in end-of-life care and growing demand for the expansion of home-based hospice services that suppor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their preferred place of death.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hospice social work practice for home-based end-of-life patients and their families––who have complex needs in medical care, caregiving, and welfare––is increasing. This study entaile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ight social workers experienced in home-based hospice social work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institutional, practical, and perceptual barriers to effective home-based hospice social work practice. Thirteen categories and 109 concepts were derived. This paper discusses the key findings in-depth and presents strategies for advancing home-based hospice social work practice.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