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장애아동 몸짓언어 인식이 민감성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구조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on Sensitivity and Interaction to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주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17~13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장애아동 몸짓언어에 대한 인식과 민감성, 상호작용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특수교사 30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SPSS 25, Macro Process 4.2, AMOS 25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몸짓언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교사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에 해당하지는 않는다. 둘째, 특수교사의 몸짓언어에 대한 인식은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특수교사의 민감성과 상호작용은 서로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특수교사의 몸짓언어에 대한 인식은 민감성을 매개하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특수교사의 민감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과 다양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특수교사의 민감성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을 이 연구를 통하여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and sensitiviti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study, 303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Macro Process 4.2, and AMOS 25 statistical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ositiv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non-verbal communic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that affects teachers' sensitivity, but it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Seco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oes not affect their interaction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rd, the sensitivity and interaction of special teach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Fourth,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fluences interaction through sensitivity. At this time, the sensitivity of special teacher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sensitivity of special teachers in various communication processe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an important factor for meaningful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