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동기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비교-
이용수 331
- 영문명
- The Effects of Motivation Types of Public Officials in Social Welfare on the Job Satisfaction -Comparison between the MZ and the Older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박서연 김상미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6권 제1호, 61~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동기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MZ세대와 기성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세대별 직무만족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 조직 성과 및 사회복지 서비스의 바람직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대별 개념 및 구분, 동기유형,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제주특별자치도 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34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MZ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르게 외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성세대는 MZ세대와 다르게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도전, 외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MZ세대와 기성세대 모두가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성취감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별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generation by analyz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n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typ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on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each generation, motivation type, and job satisfac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of 343 social welfare officia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MZ generation,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among the sub-factors of exter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unlike the older generation. Second, unlike the MZ generation, in the older generation, the challenge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sub-factors and the work autonomy among the external motivation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sub-factors for both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the sense of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 plan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by gene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