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 교과 온톨로지 개발과정에서 내용 전문가들이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Difficulties and Solutions Experienced by Content Exper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cience Curriculum Ontolog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손미현 박유림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5권 제1호,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ies faced by content experts in the ontology development process for science education and explores issues encountered in collaboration with developers. The findings aim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AI-based learning platform development. Using qualitative analysis (Lecompte & Preissle, 1993), the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of ten content experts involved in constructing a middle school science ontology.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content exper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entity setting, relation setting, and attribute setting. In entity setting, difficulties arose due to ambiguous curriculum descriptions, differences in curriculum interpretation among experts, selection of entitie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and lack of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Relation setting required discussions on entity dependency, parallelism, and alignment with the learning sequence. In attribute setting, issues included polysemous terminology and defining the depth and scope of learning. Similarly, collaboration with developers presented difficulties in these areas. Entity setting issues included curriculum structure by grade level, duplicate terminology, and errors from special characters. Relationship setting revealed inconsistencies between the curriculum’s formal hierarchy and actual learning sequences, along with difference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ttribute setting faced visualization constraints due to attribute length limitations.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I-driven personalized learning platforms, emphasizing the need for enhance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영문 초록
목차
Introduction
Theoretical Background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수학 교과서 도입부의 글과 삽화 제시 방법에 따른 학생 시선의 특성
- 유아의 계획 및 난이도 예측의 발달: fNIRS 연구
- 과학 교과 온톨로지 개발과정에서 내용 전문가들이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 Development of a Scale for Evaluating Secondary School Field Practice Programs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활동과 필요 교구 분석
- 다층모형 분석을 통한 중학생들의 인종에 따른 STEM에 대한 인식, 과학 동기의 관계: 탐색적 연구
- 동영상을 활용한 과학교과의 복습과 예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주의집중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 수학 교과서 도입부의 글과 삽화 제시 방법에 따른 학생 시선의 특성
- 유아의 계획 및 난이도 예측의 발달: fNIRS 연구
- 과학 교과 온톨로지 개발과정에서 내용 전문가들이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