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활동과 필요 교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and Required Equipment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재희 김현정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5권 제1호, 77~9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o achieve this, inquiry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and thos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ere classified accordingly.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differences across school levels, variations among science sub-discipline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related inquiry activities were examined. Additionally, the required laboratory equipment and materials for supporting inquiry activit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students progress to higher school levels, the proportion of direct experiments decreases, and a more diverse range of inquiry activities emerges. Notably, digital technology integration becomes more prominent at the high school level. Second, physics and chemistry exhibit a high proportion of direct experiments, emphasizing precise experimentation with real-time measurement tools. Earth science focuses on investigation and data analysis using digital tools, while biology highlights field observations and ecological studies, necessitating portable equipment. Third, the proportion of ICT-based inquiry activities is particularly high in physics and earth science. In physics, ICT is utilized for precise data analysis, while in earth science, it provides indirect experiences for topics such as volcanoes, earthquakes, and celestial phenomena, which are difficult to experience firsthand.
영문 초록
목차
Introduction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수학 교과서 도입부의 글과 삽화 제시 방법에 따른 학생 시선의 특성
- 유아의 계획 및 난이도 예측의 발달: fNIRS 연구
- 과학 교과 온톨로지 개발과정에서 내용 전문가들이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안
- Development of a Scale for Evaluating Secondary School Field Practice Programs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활동과 필요 교구 분석
- 다층모형 분석을 통한 중학생들의 인종에 따른 STEM에 대한 인식, 과학 동기의 관계: 탐색적 연구
- 동영상을 활용한 과학교과의 복습과 예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주의집중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