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네 각시> 설화를 통한 인간과 동물의 관계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through the Jine Gagsi tale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정규식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76집, 189~21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지네 각시> 설화에 내재한 인간과 동물의 관계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이 설화는 보은, 이류교혼, 변신 등의 관점으로 주로 논의되어 왔다. 여인으로 변한 지네가 남자와 관계를 맺고 남자의 도움으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한 후 남자에게 보은하는 내용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작품에 등장하는 지네를 동물 그 자체로 설정하여 이 이야기가 인간과 동물의 관계 맺음에서 어떠한 중요한 지점들을 설화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설화에는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복잡한 문제들이 충증적으로 내재 되어 있다. 가난과 죽음, 풍요와 삶, 기존 질서와 새로운 질서, 남자의 선택과 여인의 최종적 성취 등이 복잡한 서사적 맥락으로 이어져 있다.
이러한 서사적 맥락에 따라, 인간이 자신과 다른 종(種)인 동물과의 관계를 맺고 유지할 때 무엇이 기준이 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것의 결과로 인간과 동물이 최종적으로 어떠한 상황을 도모할 수 있는가를 설화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임을 고찰하였다. <지네 각시> 설화의 주인공은 이질적 존재를 존중하고 기존 질서에 저항하며 상대의 정체보다는 상호작용의 결과를 중시한다. 나아가 관계의 지속화를 통한 안정성을 추구하는 인물이다. 따라서 그는 인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인간과 비인간생명체가 공생·공존할 수 있는 세상을 지향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이 설화는 우리에게, 우리가 <지네 각시> 설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처럼 되기 위해서는 종이 다른 존재들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생태 환경에 대한 문해력, 즉 종간 리터러시가 풍부한 존재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herent in the Jine Gagsi tale. Until now, this tale has been mainly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gratitude, second-rate marriage, and transformation, because it is a story of a goose that transformed into a woman and formed a relationship with a man to achieving a certain goal with his help, and then repaying the man’s kindness.
However, this article sets the goose that appear in the story in an animal form, and reveals certain important poi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nimals as embodied in the narrative. This tale comprises complex problems that human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living, such as poverty and death, abundance and life, the existing and the new order, man’s choice and the woman’s final achievement, etc., that are connected in a complex narrative context.
Based on the narrative of this story, this work examines what should be the standard when humans establish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animals of a different species, and the kind of situations humans and animals can ultimately pursue as a result. The protagonist of Jine Gagsi tale respects heterogeneous existence, resists the existing order, and values the results of interaction rather than the identity of the other person. Furthermore, he is a character who seeks stability through the continuation of relationships. Therefore, he can be said to be a being who seeks a world where humans and non-human life forms can coexist and coexist, breaking away from human-centered thinking.
This tale also emphasizes to us that in order to become like the main character in Jine Gagsi tale, we must become beings with abundant inter-species literacy, that is, literacy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where other species can coexist.
목차
1. 문제 제기
2. 인간과 동물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
3. <지네 각시> 설화에 형상화된 종간 리터러시
4.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문학분야 NEW
- The Impact of Loyalty Program Value on Brand Affect, Satisfaction, and Loyalty among Millennial Casino Patrons
- The Benefits of Social Networking Sites Adoption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 유연근무제가 일과 삶의 균형 및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