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장후보자과정’ 공무원 대상의 과장급 역량평가 인식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Effectiveness of Managerial-Level Competency Assessments for Public Officials in the ‘Managerial Candidate Course’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조명성 임성태 김은희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7권 제1호, 229~26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의 신임과장 및 국장 과정을 이수한 국가직 공무원 156명을 대상으로 역량평가 제도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평가 만족도, 정확성, 공정성, 유용성 등 네 가지 영역에서 응답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나, ‘이의제기 가능성’(평균 2.47)과 ‘역량 미흡자 변별 능력’(평균 3.28) 등 일부 항목에서는 개선이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직급, 직종 등)에 따른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역량평가 제도가 특정 집단에 편향되지 않고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계층적 회귀분석 결과, 자질 검증(R²=0.42, ΔR²=0.41, p<0.001)과 역량 개발(R²=0.56, ΔR²=0.15, p<0.001) 요소가 성과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특히, ‘과장급 선발 도구로서의 적합성’(β=0.2), ‘업무 성취동기 향상’(β=0.43), ‘역량 개발 효과성’(β=0.24)이 성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역량평가가 단순한 자질 검증을 넘어 성과관리 및 개인 역량 개발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변별력을 강화하고, 평가 결과를 피드백과 연계하여 조직의 지속적인 성과 향상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among 156 senior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2023 training programs at the 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 Respondents generally had positive perceptions of four key areas satisfaction, accuracy, fairness, and usefulness but concerns remained regarding the appeal process (Mean = 2.47) and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low-performing individuals (Mean = 3.28).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demographic variables, indicating the system’s fair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competency validation (R²=0.42, p<0.001) and competency development (R²=0.56, p<0.001)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job performance, with factors such as managerial selection suitability (β=0.2), motivation enhancement (β=0.43), and competency development effectiveness (β=0.24) playing key roles. The findings suggest that competency assessments should not only serve as screening tools but also actively support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rofessional growth. Strengthening fairness, refining differentiation mechanisms, and enhancing feedback-based development programs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system’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老年教育“1+2+X”协同模式研究——以湖北省老年教育发展状况的调研为例
- 体系化与专业化:学生社团组织在思政教育中的两大维度
- 制度赋能·协同共生·生态重构:韩国专门大学产教融合机制研究——兼论对中国高职教育高质量发展的启示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