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살생존자(Suicide Survivors) 국내 연구 동향 : 2007년부터 2024년까지
이용수 0
- 영문명
- Trends in Research on Suicide Survivors in South Korea: 2007-2024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지영 최민아 정여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7권 제1호, 87~1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자살생존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자살생존자 연구 현황과 연구의 발전 과정, 향후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자살생존자', ‘자살유가족’, ‘자살 사후개입’을 주제어로 하여 검색된 학술논문 228편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69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을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분야, 연구방법, 연구주제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존자 연구는 2007년부터 시작되어 2015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매년 꾸준하게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 초기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자살유가족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이후 친구, 동료, 접촉직업군을 포함한 사회적 관계로 연구대상의 범위가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분야별 분석 결과, 심리상담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교육학, 사회복지, 보건간호,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살생존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에서는 질적 연구 (55%)가 주를 이루었고 양적 연구(14.5%)와 프로그램개발(3%) 등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질적 연구 주제는 애도 경험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심리·정서적 어려움, 사후개입 및 치유, 외상 후 성장 등 자살생존자의 다양한 경험과 개입 방안을 탐구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여섯째, 양적 연구 결과 자살생존자의 복합비애, 우울, 낙인 등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러한 어려움에 영향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자살생존자 연구의 흐름과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suicide survivors in South Korea from 2007 to 2024, focusing on the current state, developmental trajectory,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is field. A total of 228 academic papers were retriev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using the keywords 'suicide survivor, suicide bereavement, and postvention'. Among them, 69 studies that m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selected papers were classified by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academic field,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uicide survivor research began in 2007 and increased rapidly after 2015, showing steady growth each year. Second, in the early stages, most studies focused on family members, but over time, the scope expanded to include friends, colleagues, and occupationally exposed groups. Third, research was most active in the field of counseling psychology, followed by education, social welfare, health and nursing, philosophy, and other disciplines. Fourth, qual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55%, while quantitative research (14.5%) and program development (3%) were also conducted. Fifth, qualitative studies mainly explored grief experiences, along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postvention and healing, and post-traumatic growth. Sixth, quantitative studies have confirm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suicide survivors, such as complicated grief, depression, and stigma, and have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difficulties.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suicide survivors and offers meaningful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