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a Self-Monitoring Program Utilizing Video Feedback on Executive and Social Functioning in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An Evaluation of Applicability through Preliminary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신영선 구훈정
간행물 정보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7권 제1호, 39~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만성 조현병 환자들의 재활을 위한 효율적인 도구로서 본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현병 치료집단 9명과 통제집단 8명을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 감찰 프로그램을 실시한 뒤 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치료 전 후, 실행기능 2가지(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및 웩슬러지능 숫자 소검사)와 사회적 기능 2가지(인지적·정서적 공감 및 대인관계기능)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Signed-Ranks검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집단에서는 자기감찰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의 하위 요소 중 인지적 공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치료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관찰자 평정에 의해 평가된 대인관계 기능 영역에서 치료 후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실행기능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elf-monitor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on the execution function and social func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is program as an efficient tool for th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To this end, after conducting a self-monitoring program using video feedback on 9 patients in the schizophrenia treatment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two execution functions and two social function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gram.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through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reatment group,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cognitive empathy among the sub-elements of empathy through the self-inspection program. Second, in the treatment group,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in the interpersonal function area evaluated by the observer’s rat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execution fun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서 론
방 법
분석방법
결과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영선,구훈정. (2025).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7 (1), 39-62

MLA

신영선,구훈정. "비디오 피드백을 활용한 자기감찰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실행기능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예비분석을 통한 적용가능성 평가."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7.1(2025): 3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