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Emotional Eat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정의림 송미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심리치료학회지』제17권 제1호, 63~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15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성인 387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PSPS-K), 자기침묵척도(STSS), 한국판 분노반추척도(K-ARS), 정서적 섭식척도 (EES)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요 변인들은 모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했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정서적 섭식의 관계에서 자기침묵과 분노반추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을 가진 사람이 자기침묵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자기침묵은 결국에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억압하여 분노반추를 유발하게 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한 부적응적인 방식으로 정서적 섭식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섭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과 함께 상담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elf-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emotional eating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87 adults across the country, us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PSPS-K), the Self-Silencing Scale(STSS), the Anger Rumination Scale(K-ARS), and the Emotional Eating Scale(E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ll the main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Furthermore, both self-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emotional eating. Specifically, self-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acted as sequential mediators in this relation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ho are prone to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y engage in self-silencing, which suppresse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leading to anger rumination. This process can eventually result in emotional eating as a maladaptive way of cop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argeting self-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to prevent and treat emotional eating. It also recommends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and suggests areas for further research.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