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비난을 통한 상위기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37
- 영문명
-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eta-Mood through Self-Criticism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우엽 이수란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1호, 85~1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속에서 자기비난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매개된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사이의 관계에서 상위기분이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사회불안 사이의 관계가 자기비난을 통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비난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상위기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비난을 매개로 한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회불안 사이의 관계는 상위기분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규명하였으며,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상위기분이 중요한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제안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lf-criticism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 logical control on the social anxiety of college students, Additionally, we examined whether meta-mood has a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3 colleg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the SPSS Process Macro, and the mediation,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tes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llege students’ perceived social anxiety was mediated by self-criticism. Specifically, the media ting effect of self-critic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was moderated by meta-mood, demonstrating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fically identified the path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ts effect o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these significant findings suggest that meta-mood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social anxiety and that effective inter vention measures to alleviate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a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지능(AI)의 연령차별에 관한 연구: 노인차별을 중심으로
- 혁신 확산 이론에 기반한 K-POP 팬의 AI 커버 곡 선택 양상에 관한 연구
- 2024년 개정된 북한 민법상 의사표시제도의 특징과 평가
- 스테이지 파이터 리더 보드 설계: 무용수 공정성과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과학 연구법 적용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비난을 통한 상위기분의 조절된 매개효과
- 초고령사회 노인 능력 활용 방안 연구: 일본의 정년퇴직 후 노인 능력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주거환경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 대인 신뢰와 사회참여의 삼원 조절-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긍정 및 부정 정서에 대한 조절과 양극성 장애 경향성의 관계에서 반추적 반응양식과 탈중심화의 상반된 매개효과
- 탈북민 대학생의 E-Learning과 멘토링을 통한 디딤돌 프로그램의 개발
- SNS 텍스트 기반 마약 의심 거래 탐지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패턴 및 맥락 분석을 중심으로
- Design-Based Case Study of JoB+AI Model: Developing and Implementing Remote AI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for Disconnected Youth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2 Contents
- Research on the Innovative Practice and Optimisation Path of Microclasses in the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Birth of the “Internet Hippies”: Chinese Youth Sub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Mirror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