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올바른 흡입기 사용법: 서술적 문헌고찰
이용수 60
- 영문명
- Proper Use of Inhalers by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조솔아 조세현 최자윤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30권 제1호, 55~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rough a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three types of inhalers—pressurized metered- dose inhalers, dry powder inhalers, and soft mist inhalers—by COPD patients,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on inhaler use for pati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keywords such as “COPD,” “inhaler,” and “technique” in two international and two domestic databases. Guidelines and drug information leaflets were identified through a grey literature search. Two trained researchers independently reviewed 41 studies, 10 guidelines, and 21 drug information leaflets, and extracted relevant items for each step. Consensus was reached on the items for each step. Results: The steps for analyzing the use of each inhaler included 2 to 3 preparation stages, 14 to 17 use stages, and 2 to 3 cleaning and storage stages.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hree inhaler types, including methods for checking the remaining dose, the number of test sprays required for the first use or after long-term non-use, the need for drug loading, whether shaking the inhaler was necessary, the holding position of the inhaler, the presence of an air vent, and the need for capsule insertion and removal. Conclusion: This study relied on evidence to identify appropriate inhaler use steps and provided detailed instructions to reduce errors across a range of inhaler products. The data derived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viding useful guidance to both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결 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병동 성인환자의 섬망 사전위험인자 도구 타당성 평가
-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정맥주사 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고립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건강정보문해력, 불안, 우울과 영적안녕이 한국 노인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전공만족도, 그릿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올바른 흡입기 사용법: 서술적 문헌고찰
-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인체구조학습 콘텐츠 활용 혼합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이직 의도 영향요인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건강문해력과 흉부전산화단층촬영 결과 이해정도와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