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건강문해력과 흉부전산화단층촬영 결과 이해정도와의 관계
이용수 57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Understanding of Chest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연주 최자윤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30권 제1호, 32~4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HL) levels and the under- standing of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scan finding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This descriptive survey included 140 patients with COPD who regularly underwent chest CT scans and received explanations about the corresponding findings from pulmonologists at C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measuring general linguistic HL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KHLAT), COPD-specific linguistic HL (COPD-related HL tool), and functional HL (Short Korean Health Literacy Scale, S-KHLS). Understanding of the chest CT findings was assessed using a tool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on explanations provided during outpatient consultation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PD-specific linguistic HL and understanding of chest CT findings (r=.37, p<.001), and between functional HL and understanding of chest CT findings (r=.30,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ral linguistic HL and understanding of chest CT findings (r=.10, p<.232). Conclusion: H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of chest CT findings. Health providers should provide COPD-related health information in an easily understandable manner tailored to patients’ HL level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병동 성인환자의 섬망 사전위험인자 도구 타당성 평가
-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정맥주사 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고립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건강정보문해력, 불안, 우울과 영적안녕이 한국 노인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전공만족도, 그릿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올바른 흡입기 사용법: 서술적 문헌고찰
-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인체구조학습 콘텐츠 활용 혼합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이직 의도 영향요인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건강문해력과 흉부전산화단층촬영 결과 이해정도와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