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터넷 건강정보문해력, 불안, 우울과 영적안녕이 한국 노인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5
- 영문명
- Influence of Internet Health Literacy, Anxiety, Depression, and Spiritual Well-being on Loneliness Among Elderly Korean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노기옥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30권 제1호, 22~3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1) to determine the status of internet health literacy, anxiety, depression, spiritual well-being, and lonelines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nd 2)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lonelin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2024. The 192 participants were all age 65 and older and had no cognitive problems.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levels of internet health literacy, anxiety, depression, spiritual well-being, and lonelines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6.0. Results: Correlation analyse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loneli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ternet health literacy, anxiety, depression, and spiritual well-being (p<.001). In the regression model, the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loneliness were spiritual well-being (β=−.46), anxiety (β=.24), internet health literacy (β=−.23), and gender (β=.15), with a model explanatory power of 50.7% for loneliness. Conclusion: More loneliness interventions are needed for older men with high levels of loneliness, and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loneliness, such as hope-promoting strategies, internet health literacy education, and supportive care to reduce anxiety.
영문 초록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병동 성인환자의 섬망 사전위험인자 도구 타당성 평가
- 표현적 글쓰기를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정맥주사 교육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고립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터넷 건강정보문해력, 불안, 우울과 영적안녕이 한국 노인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전공만족도, 그릿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올바른 흡입기 사용법: 서술적 문헌고찰
- 간호대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인체구조학습 콘텐츠 활용 혼합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이직 의도 영향요인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건강문해력과 흉부전산화단층촬영 결과 이해정도와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