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86세대 여성 사회운동가의 굴곡진 삶과 자아를 찾는 여정에 관한 구술 생애사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jectory of Winding Life and Searching for the Self of a 386-Generation Female Social Activist using Oral Life History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임현화 문경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3호, 33~7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386세대 여성 사회운동가인 은희의 삶을 통해 급변하는 한국사회의 거시적 흐름 속에 묻힌 개인의 경험을 드러내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은희가 그동안 미처 표현하지 못했던 자신의 과거 경험을 자유롭게 풀어내는 구술 생애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세 차례의 심층면담을 진행해 생성한 자료를 시간에 따른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은희가 일관되게 지속시켰던 행위 양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은희 삶의 전반에 걸친 행위 양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행위 양식은 어린 시절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비롯된 상처와 깊이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어린 시절 가정과 학교에서 강요하는 규범과 질서를 수용하며 사회화된 은희는 대학 동아리에서 만난 학생 운동권들과의 활동에서 새로운 인식의 변화를 겪으며 세상에 대한 관점을 재구성해 나갔다. 은희의 과거 경험을 현재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재구성한 이 연구는 은희가 자신의 전 생애를 재해석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스스로 치유하는 과정이었다. 이 연구는 인간의 성장과 성숙은 학교나 기관에서의 교육이나 다양한 경험과 같은 사회적 장치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삶 전체를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의 변화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한 개인의 사회역사적 삶은 그 사람의 개인적 경험이나 유년기의 억압과 같은 삶의 맥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온전히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individual experiences buried in a macroscopic stream of rapidly changing Korean society by looking at a 386-generation female social activist, Eunhui. To achieve this goal I used oral life history method allowing Eunhui express past experiences freely.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time and space to extract Eunhui’s consistent behavior patter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behavior pattern of Eunhui was categorized into two areas. The cause of these behavior patterns was deeply rooted in the painful relationship with her father when she was young. Eunhui, who has been socialized by accepting the norms and order of her home and schools, has restructured her viewpoints of the world while experiencing new way of thinking when she worked together with other college students sharing social activity together. The entire process of this study was a self-healing process for Eunhui to 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past life experiences through the current viewpoint. This study verifies that an individual’s growth and maturity can happen not only from education and experiencing social institutions like schools and organizations but also through a change of viewpoint on his/her lif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an individual's sociohistorical life can be fully understoo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xt of personal experience and childhood oppression.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은희의 생애 이야기
5. 은희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행위 양식 분석
6.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