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교사들의 개발도상국 파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s Dispatched Program in Developing Countr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안태수 홍훈기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3호, 113~159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과학교사들이 교육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여 개발도상국에서 교육활동을 하고 돌아온 경험을 내러티브로 탐구했으며, 파견 경험이 현재의 삶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우리나라는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변한 유일한 국가로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분야에 대한 원조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세계적으로 기초과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교육 ODA도 증가되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과학교사를 포함하여 다양한 과목의 교사들에게도 파견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개발도상국으로 파견을 다녀온 참여자들은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 생겼고, 도전하는 것에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자신감 있는 태도로 임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환경을 변화시켰다. 교육부에서 제시한 미래교사 역할에서는 ‘협력자’, ‘기획자’, ‘소통·중재자’, ‘혁신가’ 등 모든 역할에 파견 경험은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또한, PCK를 구성하는 지식인 교육과정, 교수전략, 학습자, 평가에 관한 지식을 체득하였으며, 과학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영향을 끼쳤다. 이 연구가 개발도상국으로의 파견을 고민하는 교사와 파견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관계자 등 교육 국제개발협력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cience teachers returning from educational activ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by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a narrative way, and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dispatch experience in the present life.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changed from a poor country to a developed country and as Korea'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reases, the request for aid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As the necessity of basic science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worldwide for continuous development, and education ODA in Korea is also increasing,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of various subjects, including science teachers, will be given the opportunity to be dispatched. Participants who have been dispatched to developing countries had a new perspective on the world, were not afraid to take on challenges, approached with a confident attitude, and changed the environment to suit their circumstances. In the role of future teacher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positively affected all roles such as 'collaborator,' 'planner,' 'communicator and mediator,' and 'innovator.' In addition, they acquired knowledge about the educational curriculum, teaching strategies, learners, and evaluations that constitute the PCK, and had an influence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all who are interested in educati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cluding teachers who are considering dispatch to developing countries and those who plan dispatch education program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연구의 출발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연구 절차
4. 해외파견 경험 이야기하기
5. 해외파견 경험 다시 이야기하기
6.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