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자해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거기서 기다리는 나는 없다
이용수 15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dolescent Self-Injury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장은혜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4권 제4호, 193~22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여자 고등학생 참여자의 자해 경험에 대해 질적 사례 연구로 이해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참여자의 자해행동에 대한 의미를 중층적으로 살펴보고, 레비나스(Levinas)의 타자철학으로 낯설게 보기를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반구조화 질문으로 10회기 심층 면담을 주(主)로 하였고, 자료의 다각화를 위해 현장 관찰과 현지 자료들을 참고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서 범주화된 참여자의 자해 경험은 14개의 소범주, 7개의 중범주, 2개의 대범주이다. 중범주는 ‘집안에서 유능한 맏딸로 압박받기’, ‘학교에서 반 꼴찌 면하기 위해 발버둥치기’, ‘사회에서 완벽한 여자사람 되기’, ‘또래에게 외면당하기’, ‘자해의 시작’, ‘중독으로 빠져들기’, ‘벗어나기’로 주제화되었다. 참여자의 비자살적 자해행동은 초기에 스트레스 해소 역할을 했으며, 자살적 자해행동으로 이행했다가 극복과정에서 다시 비자살적 자해로 이행하였다. 참여자가 원하는 도움은 존재 대(對) 존재로서 만남의 관계였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자해행동에 대한 이해와 함께 폭력과 소외, 윤리적 관계 맺음을 성찰하고 전체성으로 환원하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에도 접근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self-injury behavior of adolescent participant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articipant’s self-injury behavior in layers, the researcher adopted the Levinas' philosophy to see it unfamiliarly. The study collected data mainly from the ten in-depth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with one female high school student.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local data were referenced along with field observation for data diversification. Participant’s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initially played a role in relieving stress, transitioned into suicidal self-injury behavior, and then to non-suicidal self-injury behavior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it.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needed deep sympathy and the fulfilled relationship as ‘being to being,' The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adolescent self-injury behavior and reflects on conducting counseling.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have the significance of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nurturing and caring of adolescents in their growing phase with the ‘ethical relationship.’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reflect on violence, alienation as well as approach the structural problem of our society in which the other is reduced to the totalit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자해 동기와 자해행동 실행과정: 레비나스의 개념으로 이해하기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