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질적메타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Non-Face-to-Face Classes at Domestic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송은화 김명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4권 제4호, 167~1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완수하기 위해 비대면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질적 메타 분석은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 분석으로 새로운 통찰과 연구물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확장된 결론을 재해석 할 수 있는 연구방법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대학 비대면 수업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수행한 국내 학술지(KCI 등재지) 연구 논문 14편이다. 분석대상 논문의 자료코딩 및 범주, 개별 연구간 상호비교, 분석, 결과 도출, 종합적 결과 도출 및 도식화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3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양가감정, 환경, 태도라는 주제를 도출하였고 6가지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대학 비대면 수업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그 의미를 논의하고 비대면 수업의 개선점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face-to-face classes in domestic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Qualitative meta-analysis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individual studies, and is a research method that can reinterpret new insights and conclusions extended from the results presented by the research. The papers to be analyzed are 14 research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KCI-registered journals) that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opic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at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categories of the thesis to be analyzed, mutual 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studies, analysis, result derivation, comprehensive result derivation, and schematiz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emes of ambivalence, environment, and attitude were derived based on three themes. Six sub-themes were also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s at domestic universities were explained and comprehensive result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meaning was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classes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