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전적 탐구의 의미와 수행 방법: 자아의 의식-몸-영(靈)에로의 통섭 여정

이용수  0

영문명
The Meaning and Methods of Doing an Autobiographical Inquiry: The Consilient Journey of Self from Consciousness to Body and to Soul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박세원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2권 제3호, 1~4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질적 탐구에서 자전적 탐구가 활용되는 것은 주로 방법적, 목적적 차원에서이다. 첫째 질적 탐구에서 탐구자는 자료의 수집, 해석, 글쓰기의 주체인데, 이 주관성을 독자들이 타당성 있게 받아 들이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전적 탐구가 활용된다. 탐구자는 주로 시작과 정리 단계에서 ‘탐구자의 삶의 의미 변화’라는 주제가 설득력 있게 드러나도록 자전적 텍스트를 삽입한다. 둘째 자전적 탐구가 본 탐구활동의 주된 목적으로 실행될 경우인데, 이 때 탐구자는 자기 삶과 정체성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일관된 탐구를 전개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 그 수준이 의식적 차원의 이해에 머무르거나, ‘타자 탐구’를 자전적 탐구의 주된 내용으로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 글은 1) 모든 탐구가 본질적으로 참된 자기 존재성을 찾는 자전적 탐구의 성격을 내재하며, 2) 자전적 탐구는 타자 탐구를 포함해야 윤리적이며, 3) 의식적 차원은 물론, 신체적, 영성적 차원에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이 글은 의식이 몸과의 대화를 통해 전개하는 자전적 탐구가 어떻게 위의 세 가지 성격들을 완수하는지 소개하면서 자전적 탐구의 의미, 근거, 방법론을 탐구의 전면으로 확대, 재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탐구의 결과는 1) 탐구를 자기 삶의 구성으로 의미화하고자 하는 탐구자, 2) 자전적 탐구를 의식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신체적, 영적 차원으로 확대하면서 참된 자기 존재성을 찾고자 하는 탐구자, 3) 이러한 자전적 탐구를 지도하고자 하는 교육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e reason for using an autobiographical inquiry in qualitative inquiry is mainly grounded in the dimension of either method or purpose. Firs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inquirer in qualitative setting is the primary subject or instrument of data gathering and analysis as well as writing, it is common for an inquirer to use autobiographical writings at the stages of beginning and ending in order to persuasively resonate to the validity of the inquiry with the readers. Second, in case of implementing an autobiographical writing as the main purpose of the inquiry, it is common to inquire into and reflect on one’s life entirely, the inquiry not only delimits its boundary to the conscious level but also does not include others’ lives as a major part of it. This study argues that 1) every qualitative inquiry is an autobiographical inquiry, 2) an autobiographical inquiry never avoid excluding inquiring into others, 3) and an autobiographical inquiry must include the dimensions of physicality and spirituality as well as the one of consciousness. This paper, based on the epistemological justification, provides the readers with the methodological breakthroughs by which an autobiographical inquiry is successfully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insight to both of the inquirers who wish to bring the process of doing a qualitative inquiry into one’s own life and who want to expand the scope of autobiographical inquiry into the dimensions of physicality and spirituality from that of consciousness.

영문 초록

목차

1. 질적 연구에서 자전적 탐구의 자리
2. 자전적 탐구의 세 지평: 의식-몸-영
3. 자전적 탐구의 수행 과정과 방법
4. 자전적 탐구의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원. (2019).자전적 탐구의 의미와 수행 방법: 자아의 의식-몸-영(靈)에로의 통섭 여정. 교육인류학연구, 22 (3), 1-45

MLA

박세원. "자전적 탐구의 의미와 수행 방법: 자아의 의식-몸-영(靈)에로의 통섭 여정." 교육인류학연구, 22.3(2019): 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