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생애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배움과 가르침
이용수 0
- 영문명
-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Life Experience Narratives of Highly Experienced Public Kindergarten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정순경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4호, 277~31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배움과 가르침을 이해하기 위해 26년 경력의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 1인의 생애경험 내러티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참여자의 생애경험 내러티브 중 교육철학 및 교육실천과 관련한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배움과 가르침이 어떠한가를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배움과 가르침은 마주침을 통한 이념 만들기 과정, 마주침의 공간 경험과정 및 미래지향적 가치 형성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경계를 넘어설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속에 자리 잡고 있는 경계를 지각하고 넘어서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진정한 사유가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해준다. 유아의 진정한 사유 만들기를 위해 교사의 배움과 가르침의 근간이 되어야 하는 요소로 유아의 자발성 일으키기, 마주침의 공간 만들기, 사유 만들어내기의 세 관점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관점은 유아교사 교육과 유아교육과정 구성에 있어 근간이 되어야 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도울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fe experience narratives of highly experience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ith 26 years of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fter her narratives were gathered, the narratives related to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were primarily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explore what her learning and teaching would be lik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he highly experienced public kindergarten teacher have been categorized into three: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 ideology through encounter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spaces for encounters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future-oriented value. It could be said that these are the process to teach young children to build up their strength to cross various borders with which they are confronted in the worl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genuine think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perceive and cross borders that are i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ree perspectives are presented as the basic elements of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eachers to stir up the genuine thinking of preschoolers: arousing the spontaneity of young children, preparing spaces for encounters, and stirring up thinking. The perspectiv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what should be the ba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교사 수정의 배움과 가르침: 경계 넘기를 위한 힘을 기르는 과정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러섬 없는 위기지학(爲己之學): 한 교육인류학도의 연구궤적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 남북 교류ㆍ협력 시기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 북한이탈 대학생의 생애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전환’을 추구하는 대안학교에 관한 사례연구: 늘푸름학교를 중심으로
- 자료의 존재론: 대패ₙ이 들려주는 자료 이야기
-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의 의미에 대한 포토에세이 연구
-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생애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배움과 가르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