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이용수  2

영문명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flective Understanding on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서근원 송하인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4호, 43~92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 현장의 교원이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을 응용하여 자신의 수업을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연구자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수업 관찰의 방법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기존 수업 관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현장 교원들에 의해서 주목받고 있는 수업 성찰이란 무엇이며, 교육인류학의 이론적 문제의식과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구체적으로 어떤 절차에 의해서 수업을 성찰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그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자가 담임으로 있는 초등학교 3학년의 사회과 수업을 그 수업에 참여한 산이라는 아이의 관점에서 성찰적으로 이해해보았다.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그 수업을 성찰적으로 이해한 바에 따르면, 산이가 수업의 과정에서 엉뚱한 소리를 하고, 다른 아이들과 자주 다투는 것은 산이가 오개념을 가졌거나 자기중심적이어서가 아니라 궁금증과 호기심이 많아서 다른 아이들과 다르게 독특한 방식으로 사고하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서 다른 아이들이 산이를 오해하고 갈등하거나 배척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산이가 오개념을 가졌다기보다는 교사인 나를 비롯하여 산이 주변의 사람들이 고정관념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교정해야 할 것은 산이가 아니라 나의 수업 관행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an example of a classroom instruction research method that can guide school teachers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ir instruction by themselves.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classroom instruction research methods that are generally used by school teachers. And I clarified the meaning of the method of “instruction reflection.” I looked for a concrete way to reflect my classroom instruction. “Viewing instruction from the pupil's perspective” is suitable research method for my purpos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I tried to understand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of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from San’s perspective who is attending that instruction as a pupil. San usually says preposterous words and struggled against his classmates. I thought that he had a misconception, and had egocentric attitude. So, I tried to correct his misconception and attitude. That was regarded as appropriate role of school teacher. But, viewing from San's perspective, San has unique thoughts due to strong curiosity. His unique thoughts arouse conflicts with other pupils and exclusion from them. San does not have a misconception. So, I can say that I and other pupils have stereotypes. Given this, it is not San that should be corrected but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the habitual of my classroom instruction.

영문 초록

목차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선행연구 검토
3. 이론적 배경
4. 연구 방법과 절차
5. 연구 결과
6.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근원,송하인. (2018).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인류학연구, 21 (4), 43-92

MLA

서근원,송하인.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인류학연구, 21.4(2018): 43-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