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 대학생의 생애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Tension in Life Process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전정이 이은미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1권 제4호, 93~1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 대학생의 생애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감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밴 매넌이 제시한 4가지 실존체 분석 방식을 사용하고자 했으며, 북한에서 중국과 제3국을 거쳐 남한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적 탐구를 위해 밴 매넌이 제시한 시간성과 공간성을 3단계로 구분하였다. 북한이탈 대학생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경험했던 시·공간속에서의 기억과 욕망을 긴장감의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특히 타자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신체에 나타나는 긴장감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긴장감의 실체는 ‘감시와 처벌에 따른 긴장’, ‘고발과 송환에 따른 긴장’, ‘경쟁과 배제에 따른 긴장’으로 나타났다. 강도나 밀도 측면에서는 전체주의 사회에서 나타나는 감시와 처벌에 따른 긴장이 더 컸으나, 긴장의 지속성 측면에서는 유동적인 사회이지만 소수자를 배제하거나, 경쟁을 요구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긴장이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본질적 주제는 ‘삶의 터전에서 내몰리기’, ‘사선에서 살아남기’, ‘경쟁에서 살아남기’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긴장감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긴장감의 이면에는 탈북과정에서 생존하겠다는 욕망과 무사히 남한으로 가고자하는 욕망, 남한 사회에서 성공하겠다는 욕망이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 대학생의 신체를 통해 드러난 긴장감은 그들의 생애과정에서 형성한 생명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필사적인 방어 전략이며, 생존을 위한 내적 투쟁의 결과이며, 현재 남한사회에서 성공하기 위한 원동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ensions in the life cycle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used the four methods of existence analysis proposed by Van Manen to explore the experiences from North Korea, China through the 3rd country, to finally South Korea. From the experiences of nine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the ‘tension’ based on the memory and desires of the participants. Especially,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others, the tension appeared on their body was explored. The experience of moving from North Korea to China through a third country, time and spatiality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reality of the tension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tension due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tension due to accusation and repatriation,' and 'tension due to competition and exclusion.' In terms of strength and density, tension due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often visible in a totalitarian society was greater; however, in the aspect of continuity of tension, the tension was great during the process of adapting to a mobile society that excluded minorities or demanded 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the essential themes of this study were ‘expulsion from home,’ ‘survival in a life-or-death crisis,’ and ‘survival in competition.’ The participants showed tension in the process of survival, and behind this tension are the desire to survive in the process of defecting, the desire to reach South Korea safely, and the desire to succeed in South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the tension expressed through the body of North Korean college students is a desperate defense strategy to cope with the life threat posed by their lives, the result of internal struggle for survival, and a driving force for success in the present South Korean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절차와 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물러섬 없는 위기지학(爲己之學): 한 교육인류학도의 연구궤적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 남북 교류ㆍ협력 시기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 북한이탈 대학생의 생애과정에서 나타난 긴장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전환’을 추구하는 대안학교에 관한 사례연구: 늘푸름학교를 중심으로
- 자료의 존재론: 대패ₙ이 들려주는 자료 이야기
- 한 호주 놀이터의 물질성을 통해 본 놀이의 의미에 대한 포토에세이 연구
-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의 생애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배움과 가르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