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숲교육에 대한 수업나눔 사례연구: 행복숲모임 세 숲선생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f Lesson-Sharing about Forest Education: Focus on Three Forest Teachers in Happy Forest Mee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권정희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4호, 227~25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숲교육 수업나눔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수업나눔은 숲선생님들의 자기 이해를 위해 숲교육 영상을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눈 활동이다. 숲선생님들이 자신의 수업영상을 동료교사와 함께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던 활동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위해 숲교육의 모습을 촬영하고, 수업나눔의 모습을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재구성하면서 연구결과를 발견하게 되었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숲교육 연구에서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숲교육 수업나눔을 이해할 때, 수업나눔의 양상은 공유, 갈등, 절충으로 이해하였으며, 수업나눔에서 드러난 세 가지 숲교육의 공통점은 참가자를 존중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차이점은 몸-머리-가슴의 통합을 숲교육의 지향으로 바라볼 때 중점을 두는 것이 다른 것을 발견했다. 수업나눔의 결과 세 숲선생님이 생각하는 숲교육은 농부형 숲교육, 어부형 숲교육, 안내자형 숲교육으로 정리하였다. 수업나눔을 통해 숲선생님은 자신의 숲교육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동료 숲선생님의 숲교육을 함께 보면서 서로의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다. 숲교육 수업나눔을 통해 이전보다 숲교육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것은 숲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실제를 자세히 바라보는 일은 지금의 숲교육을 이해하게 하며, 이를 통해 숲교육의 앞날을 그려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숲교육다운 숲교육을 모색하는 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tains the theme of sharing forest education lessons. Lesson-sharing is an activity wherein forest teachers share videos of their teaching process and how it is shared with other teachers. It was attempted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lesson-sharing that the forest teachers talked about while showing their lesson videos to their fellow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rest education lessons were record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lesson-sharing. The collected data was continuously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reconstr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understanding forest education class sharing, the aspects of lesson-sharing are understood as sharing, conflict, and compromise. Three forest education video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teacher’s self-reflections identified three types of forest education aspects: farmer, fisher, and guide. The difference is that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the body-head-mind as an orientation for forest education is different. Through lesson-sharing, the teach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forest education and extend their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for forest educators to understand concrete forest education better than before through forest education lesson-sharing. Looking at the details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forest education, which will allow us to draw its fu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forest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개념 탐색
3. 연구방법
4. 수업나눔의 이해
5.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