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발달지연 아동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xperiences of Mothers in Child-Parent Relationship Therapy, whose Children hav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 Qualitative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오경미 유미숙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4호, 49~89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 아동 어머니들의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 경험을 들여다 보고, 그녀들의 놀이에 대한 태도와 삶에서 갖는 경험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 프로그램에 참여한 두 언어발달지연 아동어머니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 참여관찰, 보고서 및 저널을 분석하였고, 질적 사례연구로 이들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자 노력하였다. 언어발달지연 아동 어머니들은 그녀들의 살아온 경험에 따라 다른 경험의 양태를 보여주었다. 그녀들은 아이가 지연되었다는 것에 압도되어 이미 불안을 가지고 있었고 전문가에게 끝없는 질문과 확인받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녀들은 육아와 가사의 짐을 그대로 껴안은 채 CPRT에 참여하여 놀이를 놀이로써 받아들이기 보다는 숙제로 받아들여 일상의 세계와 놀이의 세계가 분리된 두 세계를 걷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녀들의 아이를 일반 아동과 특수 아동의 경계에서 두 세계를 걷고 있다고 여기기도 하였다. 그녀들은 놀이에 대해 실제가 아닌 가공된 세계라는 태도와 목적을 가진 태도로 임하였다. 자신의 태도를 변화하지 못하고 갈등하는 어머니도 있는 반면, 변화하고자 하는 어머니의 모습도 보이면서 놀이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 경험은 언어발달지연 아동 어머니들의 삶에서 또 다른 자신 또는 자녀와 흔들리지만 그 자체로 의미 있는 ‘만남(encounter)’이 되었고, 자신과 아이의 인생에 대해 적극적으로 기투하고자 하는 그녀들의 ‘분투하는 삶’의 연장선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others in Child-Parent Relationship Therapy, whose children hav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o clarify the attitudes to play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in their lives. For these purposes, I analyzed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s, reports and journals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two mothers in child-parent relationship therapy, whose children have delayed language difficulties, and tried to reveal their experiences as they are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Mothers whose children hav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howed different experiences depending on their own experiences. They were overwhelmed by the delay and already developed anxiety, and showed an endless question and confirmation to the expert. They embraced the burden of childcare and housework and participated in the CPRT. Instead of accepting play as a play, they accepted it as homework and walked through two worlds where the world of daily life and the world of play are separate. They also felt that their children were walking the two worlds at the border between normal and special children. They came to the play with an artificial world and a purposeful attitude. While there were some conflicts that could not change their attitudes, they showed the possibility of play while showing the mother who wants to change. Child-parent relationship therapy (CPRT) experiences have become shaken but a meaningful 'encounter' for their own or their children in the liv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y are actively fostering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s life. It was an extension of their 'struggling lif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부모-자녀 관계치료 경험
5. 부모-자녀 관계치료(CPRT) 경험의 의미
6. 에필로그
7.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