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ppreciation in Museums or Art Galleries of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최연정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2호, 75~10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요즘은 박물관·미술관 현장학습이 유치원의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처럼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유아들의 감상경험을 살펴보면 어른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만이, 즉 '예술 감상'이 '예술 작품에 대한 지식 습득'처럼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 현장학습으로 행하는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 경험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유아들을 위한 미술 감상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현상학적 접근 방법으로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의 한 사립유치원에 재원 하는 만 5세반 아동들이다. 연구자는 평균 월 1-2회의 박물관·미술관 현장학습에 동행하였다. 현장에서 아동들을 관찰, 그 내용을 전사하였고, 현장 체험 사전/사후 아동들과 이야기나누기, 교사와의 인터뷰는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을 제언한다. 첫째,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경험은 '하나의 경험'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경험은 아동중심의 경험이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주체적으로 전시물을 감상하며 교감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아동의 경험이 일상과 연결되도록 하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해하고, 존중하며, 이를 지지하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In recent years, museums or art galleries field-learning has become a kind of kindergarten education program. Looking at children’s field-leaning at museums or art galleries, not only 'appreciation' about works of art, but only 'information' on works is often taught by teachers or do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children 's experience with art appreciation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examine what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aim for. The subjects were five-year-olds in a private kindergarten in Gyunggi–do. The researcher accompanied the children in museums and art galleries on average of one to two times a month. The children were observed at these places and the observations were transcribed. Interviews after experience with children and the teacher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first, children's art appreciation experiences at museums or art galleries should be provided to be 'An Experience.' Second, children's art appreciation activities at museums or art galleries should be a child-centered experience.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teacher to recognize, understand, encourage, respect, and support children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and understanding the subject of appreciation.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예술경험과 감상
3. 유아의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 경험 들여다보기
4. 유아의 박물관·미술관 감상 경험의 교육적 의미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연정. (2017).아동의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0 (2), 75-108

MLA

최연정. "아동의 '박물관·미술관에서의 감상'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0.2(2017): 75-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