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동대학교 학생들의 문화학습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신입생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Learning Culture Process of the Haedong University Students: Focus on the Freshmen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이규일 전현욱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0권 제2호,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이 연구에서 대학생활 적응과 문화와의 관련성, 그리고 문화는 학습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동대학교 신입생들의 문화학습 과정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2009년 9월에서 2010년 4월까지 면담을 주요 방법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이후 잠정적 글쓰기 과정에서 드러난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2017년 3월, 추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최종 보고서를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문화학습 과정을 '이상한 문화 대면하기', '새끼 해동인 되기', '해동국 국민 되기'의 세 국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현상학적 실존체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적응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학습하는 문화적 요소는 특정한 네 개의 달, 해동대학교와 해동인에 대한 표현인 '우리', 해동대학교의 대표적 상징물인 크림슨색과 호랑이, 그리고 선후배 관계에 대한 독특한 길들임과 의미화임을 알게 되었다. 이어 '공동체'와 '주름', '탄성' 개념을 활용하여 그 과정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그 속에는 '공동체 형성', '주름 펴기'의 의미가 함의되어 있을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대학 문화를 '성공적으로' 학습하지 못한 신입생들을 연구에 참여시키지 못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이 부분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aedong University freshman’s process of learning culture. To collect research data, we interviewed five participants in attendance at Haedong University from September 2009 to April 2010. However, we found that the collected data were insufficient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so we had an additional interview with a participant in March 2017. We tried to analyze the process with the perspective of, firstly, the relation between school life adjustment and individual culture, secondly, the assumption that individual culture is learne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cess of learning culture are classified into ‘encountering a strange culture,’ ‘becoming a Haedong baby,’ ‘being a people of Haedong nation.’ As we analyze the proces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framework, the cultural element that participants learned in adaption course showed ‘particular four months,’ ‘WE as the symbol of Haedong people,’ ‘dazzling color and tiger to symbolize Haedong University,’ and ‘taming and signification’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ior and a junior. We interpreted the above results with three conceptual tools of ‘community,’ ‘pli,’ and ‘elasticity,’ and then,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process of learning culture as ‘community building’ and ‘straightening the pli.' Lastly, we suggested limits of this study and a few follow-up studie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신입생이 해동인이 되기까지
4. 해동인 되기 과정에서 학습하는 문화적 요소
5. 해동대학교 신입생의 해동인 되기 과정에 대한 이해
6.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일,전현욱. (2017).해동대학교 학생들의 문화학습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신입생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0 (2), 1-40

MLA

이규일,전현욱. "해동대학교 학생들의 문화학습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신입생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0.2(2017):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