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 개발

이용수  66

영문명
Development of ‘Making a Sustainable City’ Hands-on Activity Task by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echnology Education of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진수은 김지민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4권 제3호, 117~14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일부 수정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단계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SDG 11 관련 요구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체험활동과제의 학습목표를 명세화하고, 평가도구를 설계하였으며, 수업 주제와 세부 내용을 구조화하였다. 또한, 적합한 교수 전략, 교수․학습 방법과 매체를 선정하였다. 셋째, 체험활동과제의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 검증 결과에 따라 이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넷째, 중학교 2학년 학생 총 17명을 대상으로 체험활동과제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 만족도를조사하였다. 다섯째, 학습자 만족도와 학습 결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체험활동과제를 최종 개발하였다. 이는 총 10차시의 수업과정안, 교사용 수업 자료, 학생용 포트폴리오, 채점 기준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방향성에 따라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를 개발할 수 있다. 보다 체제적인 개발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발, 실행, 평가 단계의 절차를 수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가상현실 콘텐츠를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는 학생들에게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건설기술에서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한 학습을 도울 수 있다. 셋째,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체험활동과제는 도시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의 세 측면을 고루 고려하도록 한다. 일부 학생들은 체험활동과제 수행 중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도시의 요소를 구체화하는 데 어려움을겪었다. 이는 기존에 건설기술에서 제시했던 내용이 주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되었음에 반해,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일부 수정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다섯단계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SDG 11 관련 요구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체험활동과제의 학습목표를 명세화하고, 평가도구를 설계하였으며, 수업 주제와 세부 내용을 구조화하였다. 또한, 적합한 교수 전략, 교수․학습 방법과 매체를 선정하였다. 셋째, 체험활동과제의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 검증 결과에 따라 이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넷째, 중학교 2학년 학생 총 17명을 대상으로 체험활동과제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 만족도를조사하였다. 다섯째, 학습자 만족도와 학습 결과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수정 및 보완하여 체험활동과제를 최종 개발하였다. 이는 총 10차시의 수업과정안, 교사용 수업 자료, 학생용 포트폴리오, 채점 기준표로 구성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방향성에 따라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를 개발할 수 있다. 보다 체제적인 개발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발, 실행, 평가 단계의 절차를 수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가상현실 콘텐츠를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는 학생들에게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건설기술에서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한 학습을 도울 수 있다. 셋째,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체험활동과제는 도시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의 세 측면을 고루 고려하도록 한다. 일부 학생들은 체험활동과제 수행 중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도시의 요소를 구체화하는 데 어려움을겪었다. 이는 기존에 건설기술에서 제시했던 내용이 주로 생태적 지속가능성과 관련되었음에 반해, 지속가능성의 개념은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king a sustainable city’ hands-on activity task by using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echnology education of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iv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y modifying the ADDIE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needs related to SDG 11 in ESD and curriculum. Second, the learning objectives were specified, assessment tools were designed, lesson topics and details were structured, and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method and media were selected. Third, we developed a draft of the hands-on activity task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i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t validation. Fourth, we implemented lessons with the hands-on activity task for a total of 17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and surveyed them about their satisfaction. Fifth, we evaluated the results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learning, and developed the final version of the hands-on activity task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DIE model can be modified and utiliz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study to systematically develop this hands-on activity task. In this study, the procedures of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were modified. Second, this hands-on activity task can provide satisfaction to students and help them learn about sustainable city in construction technology. Third, this hands-on activity task requires students to consider all three aspects of sustainability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city. Some students struggled with the challenge of fleshing out the elements of the city related to social and economic aspect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ontent previously presented in construction technology is mainly related to ecological aspects, whereas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requires the integration of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수은,김지민. (2024).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4 (3), 117-142

MLA

진수은,김지민.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가상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체험활동과제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4.3(2024): 117-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