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특수교육 개별화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41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4호, 97~1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 개별화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2014년~2023년) 국내에서 개별화교육을 주제로 한 107개의 연구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 개별화교육계획과 특수교육이 출현빈도와 중심성이 가장 높았다. 이 두 개의 키워드를 제외한 분석 결과로는 통합교육, 특수교사, 개별화교육지원팀, 특수학교, 교육과정이 높은 연결중심성을 나타냈다. 특히 특수교육 개별화교육 관련 연구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통합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5개의 핵심 키워드에 대한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키워드별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을 바탕으로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특수교육에서의 개별화연구가 지금까지는 거시적 측면에서 이루어졌지만 후속연구에서는 미시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individualized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To achieve this, 107 studies on individualized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over the past 10 years(2014 to 2023) were analyzed using a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special education"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centrality. Excluding these two keywords, "inclusive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s," "special schools," and "curriculum" displayed high degree centrality. Notably, the high degree centr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research on individualized education within special education is a positive indicator of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Additionally, an ego network analysis of these five key keywords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based on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for each keyword. In summary, individualized education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has primarily focused on a macroscopic perspective. However, future studies should more actively explore microscopic perspective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