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227

영문명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경옥 김지연 옥민욱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7권 제4호, 49~6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장애 학생을 위한 AI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차이 여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성공적인 장애 학생을 위한 AI 교육 실현을 위해 특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특수교사 330명과 예비 특수교사 290명의 응답 자료를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 모두 AI에 대한 관심이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이해도와 활용 경험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모든 부분에서 특수교사가 예비 특수교사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 모두 장애 학생을 위한 AI 교육의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였으나, 본인의 준비도는 낮은 수준이라고 응답하였다. 특수교사는 ‘AI 이해 교육’과 ‘교수·학습에서의 AI 활용’ 영역에서 예비 특수교사에 비해 유의하게 준비도가 낮다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 모두 AI 적용에 높은 수준의 긍정적인 기대감을 보였으며, AI 적용으로 다양한 수업자료의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가장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또한, 특수교사는 ‘장애 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AI 콘텐츠 및 교재 교구 부족’을, 예비 특수교사는 ‘교육 소외 계층의 정보 격차 및 학교별 기기 확보 편차로 인한 불평등’을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학생을 위한 AI 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한 논의와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amining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 aimed to propose support plans for successful AI implemen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90 pre-service teachers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both groups expressed interest in AI, thei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with using AI were relatively l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s across all areas compared to pre-service teachers. Second, both groups strongly recognized the need for AI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felt unprepared overall. Specifical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less prepared in areas such as ‘AI understanding education’ and ‘AI use in teaching and learning’ compared to pre-service teachers. Last, both groups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the potential of AI usage and they expressed the highest expectations regarding the ability to ‘use various teaching materials’ through AI.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ressed the most concern about ‘a lack of AI content meeting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ried most ‘inequity due to the information gap among the disadvantaged and differences in device availability between schools.’ The study discussed strategies for successful AI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옥,김지연,옥민욱. (2024).특수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 (4), 49-69

MLA

박경옥,김지연,옥민욱. "특수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7.4(2024): 4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