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에 대한 교사의 수정피드백과 유아의 발화오류 수정

이용수  7

영문명
Preschool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on Oral Error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Learner Uptak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4호, 153~17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 유형, 교사의 수정피드백 유형 그리고 교사의 수정피드백에 따른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 수정 양상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 만 3세 학급에 재원 중인 다문화 가정 유아 8명이다. 유아들이 참여한 그림책 읽기, 조형활동, 과학활동 등을 총 29회 그리고 총 1,015분에 걸쳐 관찰 및 녹화하였다. 녹화된 유아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모두 전사한 후 유아의 발화오류, 교사의 수정피드백 및 유아의 오류 수정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는 문법, 어휘, 발음, 기타, 맥락해석 오류로 나타났다. 유아의 발화오류에 대한 교사의 수정피드백은 고쳐 말하기, 명료화, 유도, 명시적 수정, 반복피드백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발화오류 수정에 가장 효과적인 교사의 수정피드백은 명시적 수정피드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적절한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al errors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types of corrective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to learner uptake and immediate repair of the err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 children aged 3 yea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The database consists of 1,015 minutes of classroom interaction between two teachers and eight children participating in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uch as picture book reading, arts and scien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speech errors were grammatical errors, vocabulary errors, phonological errors, other errors such as code-switching. Second, recast was by far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 in the database and the next most frequently occurring feedback types in the present study were clarification requests, elicitation, explicit corrective feedback and repetition. Third, the most effective corrective feedback that involves contributing to learner uptake was explicit corrective feedback.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eschool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language learning difficulti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y revealing language learning errors and effective corrective feedback techniques that lead to learner uptake and repai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진. (2021).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에 대한 교사의 수정피드백과 유아의 발화오류 수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2 (4), 153-175

MLA

김민진.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화오류에 대한 교사의 수정피드백과 유아의 발화오류 수정."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2.4(2021): 153-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