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동시 문학의 연구 현황 - 2000~2021년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tudies About Korean Childrens Verse Literature - Focus on Masters and Doctors Theses between 2000 and 2021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정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4호, 5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국 동시 문학 연구 관련, 최근 20여 년간 산출된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 동시문학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아동문학, 동시 연구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된 총 300여 건 중 동시 작가와 그의 작품 연구를 중심으로 추려진 114편의 학위논문을 연도별·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다음 세 가지 형태를 띠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작가와 작품 연구이다. 동시인의 생애와 문학세계를 다루고, 작품의 내용적·형태적인 특징을 고찰하였다.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근대 동시작가 연구가 이뤄졌고, 이후 최근 십여 년간 현대 동시인을 대상으로 한 학위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다른 동시인과의 비교 연구이다. 유명 시인의 영향을 받은 동시작가와 작품이 적지 않다는 것을 비교연구 성과물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동시인과 동시인, 텍스트와 텍스트의 관계 양상을 추적한 논의가 결락된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시간성의 층위를 고려해서 역사성이나 시대성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동시사 연구는 아동문학의 전체 테두리에서 일부 연구되는 것으로 과소평가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한국 동시사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창작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가장 주시해야 할 연구분야이기도 하다. 또한, 정전급 동시인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더불어 비정전급 동시인과 작품을 통해 동시사를 추적하고 기존연구에서 결락된 동시인을 발굴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총체적인 동시사 서술이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ed to analyze the status of Korean children's verse literature on how issues and study trends have changed according to researchers' interests and concerns for about 20 yea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ses focusing on the genre of children's verse have the following three types, in general. First, the theses studied about authors and their works. These kinds of studies dealt with children's verse and the authors' lives and their world of literature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works. Second, they compared the authors of children's verse with other ones. By comparing them, these kinds of studies paid attention to the authors’ originality or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ir works. Third, the studies about the literature history of children's verse are proud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verse. One of the studies paid the most attention to determine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verse and to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In addition, overall simultaneous description will be possible only when continuous discussions on non-constant simultaneous persons and works are followed by efforts to track simultaneous persons and discover those who have been omitted from existing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동시문학 연구의 현황 분석
Ⅳ. 유명 시인의 동시작품과 근·현대 동시인 연구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