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문학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Literature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3호, 3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문학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는 학위논문 114편과 학술지논문 86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 모두 2005년∼2009년이 가장 많았으며, 2015년∼2019년이 가장 적었다. 둘째, 연구유형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모두 프로그램 적용 효과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인식 또는 현황 연구, 문학본질에 관한 연구, 동향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모두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질적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발달 영역은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모두 신체발달은 없었으며, 사회성발달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언어발달, 인지발달, 창의성발달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대상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모두 만 5세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위논문은 만 4세, 문헌 또는 책, 교사 또는 예비교사, 만 3세, 부모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술지논문은 교사 또는 예비교사, 문헌 또는 책, 만 4세, 만 3세, 부모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기간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모두 8주 이상∼16주 미만이 가장 많았다. 일곱째, 문학 유형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모두 동화가 가장 많았다. 여덟째, 통합 교과별로는 학위논문은 사회교과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수학, 과학, 언어, 문학, 음악, 동작, 미술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술지 논문은 문학교과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언어, 사회, 과학, 수학, 미술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literature of young children. 114 dissertations and 86 journal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year, the numbers of dissertations and journals were the largest in 2005 to 2009, while 2015 to 2019 had the smallest numbers. Second, by the type of the study, ‘evaluation on the program result’ was the most, followed by current perception or status, nature of literature itself and research trends. Third, b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Fourth, by area of young child development in the study, ‘social development’ was the most, followed by language development, perception development and creativity development, while neither of the two had ‘physical development’. Fifth, by the study population, ‘the ages of fiv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the dissertations, the ages of four, literature or book, teacher or pre-teacher, the ages of three and parents followed. For journal, teacher or pre-teacher, literature or book, the ages of four, the ages of three and parents followed. Sixth, by the study period, a period of 8 weeks to 16 weeks was the most in both. Seventh, by the type of literature, ‘fairy tale’ was the most in both. Eighth, by the type of integrated subjects in the study, ‘society’ was the most in dissertation, followed by math, science, language, literature, music, physical education and art. For journal, ‘literature’ was the most, followed by language, society, science, math and a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