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편적 활동을 넘어 시적 경험을 나눌 수 있었던 유아교사의 동시 교육 경험 연구 -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Poetry Education for Which They Can Share Poetic Experiences Beyond Fragmentary Activities -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Approach -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화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1권 제3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유아 동시 교육이 단편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시적 경험을 나눌 수 있는 활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시 활동의 전형적 방식의 내용과 영향요인, 맥락, 결과 등을 분석하여 실체이론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15명의 경력교사였으며 개인적 희망에 따라 2-4회까지의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구술 자료를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코딩에서 54개의 범주와 초점코딩에서 14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최종적으로 이론적 코딩에서는 5개의 범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했다. 즉, 유아 교사들의 동시 교육 경험은 즐거움이 사라지고 의무감만 남아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교사의 능력부족이 아닌 경험부족 때문이었다. 여기에는 한계를 앞세우게 만드는 교육환경의 맥락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유아교사는 관심과 나눔, 지지를 통해 힘을 얻을 수 있었으며 결국 유아에 대한 믿음과 스스로에 대한 확신으로 유아와 교사 모두가 시적 경험의 즐거움을 공유할 수 있는 동시 교육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양질의 동시 교육 활동을 위해 지원해야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이기보다 관계적인 측면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poetr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eyond fragmentary activities in activities that can share poetic experiences with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substantive theory by analyzing the contents, influence factors, context, and results of experiences of preschool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 experienced teachers. They participated in 2-4 interviews based on personal wish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al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54 categories in the initial coding stage and 14 categories in the focused coding stage were composed. Finally, in the theoretical coding, the storyline was composed of 5 categories. That is, the main phenomenon in poetry education experience of preschool teachers was an activity in which the joy disappeared and only the obligation remained. Even so,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was not because of the teacher's low abilities, but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experiences; ther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puts the limits first. However, the teachers were able to gain strength through concern, sharing and support, and in the end, they were able to carry out poetry education that both children and teachers could share the pleasure of poetic experiences with faith in the children and confidence in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pplying for high-quality poetry education activities was discussed in terms of relations, not knowledge and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