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이용수  4

영문명
A Meaning Analysi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Reflected on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in 2007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임영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201~2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유아문학교육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 지를 분석해봄으로써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인 표준보육과정(2005, 여성부)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2008, 교육과학기술부) 및 유치원교육과정해설III(2008)로 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 예술경험영역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의 성격, 목표, 내용으로 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째, 현재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 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의 성격, 목표, 내용에 반영되어 있는 유아문학교육은 유아언어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충분할지 모르지만 유아문학교육의 본질적 목표를 달성하기엔 미흡하며 문학 예술적 기능을 소홀히 다루게 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은 아동중심교육철학을 실천하기 위한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유치원교육과정의 언어생활을 지원하는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1969년 1차 유치원교육과정의 탄생 이후 최초로 유아교육과정내용에 ‘문학’의 용어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내에서 유아문학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유아문학의 의미해석을 시도하는 단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아교사가 유아문학교육의 본질적 목표와 내용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유아교육과정은 의사소통영역 및 언어생활과 예술경험영역 및 표현생활이 유기적이고도 통합적으로 연결되도록 재정립하여 유아들의 문학교육활동이 문학예술활동이면서 동시에 언어예술활동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Young children's literature could present a direction for a reconstruction of aesthetic appreciational experiences on a basis of literate imagination rather than a simple delivery of their mea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by analyzing how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s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Kindergarten Curriculum as a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objects of analysis are Standard Educare Curriculum(200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 Introduc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revised in 2007 (200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ommentary of Kindergarten Curriculum III (2008). The category of analysis is including a field of communication and art experience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s much as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a field of linguistic life and expressional life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field of communication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s of linguistic life might be a sufficient function of reaching a goal of young children's linguistic education. But they are insufficient for achieving a essential goal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l artistic function is thought to be worried over neglecting its value. Second,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may be an excellent resources to practice a child-focusing education philosophy and is emphasizing to support a field of communication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nd a linguistic life of Kindergarten Curriculum. Third, the term of "Literature" is used first on young children's curriculum after the born of first Young Children's Curriculum in 1969. It is seems to be encouraging to make an implication of analyzing a meaning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in young children's education. Young children's education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for connecting a field of communication with that of art experience systematically and coordinately. It will be so useful for teachers to coordinate an essential goals and content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 activities of young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manifested and enjoyed as both literal artistic and linguistic artistic activitie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해석
IV.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영심. (2009).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 (2), 201-222

MLA

임영심.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2(2009): 201-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