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루브릭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Designing Rubrics for Assessing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변윤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루브릭을 활용한 바람직한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유아문학교육의 평가를 위해 Goodrich(1996)가 제시한 7단계의 루브릭 개발 절차를 6단계로 수정하여 유아문학교육 평가를 루브릭 개발 절차를 제시하고, 등장인물, 배경, 주제, 플롯, 문체의 문학의 인지적 영역과 흥미, 동기, 태도, 가치의 정의적 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루브릭 활동을 개발하여 만 5세 유아 21명에게 실시하고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문학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개발하고, 유아문학교육의 체계를 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rubrics which could be used as a performance assessment tool to assess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 An rubric is usually a one or two-page document that describes varying levels of quality, from excellent to poor, for a specific assignment. Its purposes are to give students informative feedback about their works in progress and to give detailed evaluations of their final products. In this study, the Rubric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of reader. In designing the rubrics, a activity was selected from each instructional area of character, background, theme, plot, literary style. The rubrics help teachers teach as well as evaluate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흥미와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담당 사서를 위한 스토리텔링 운영 매뉴얼 개발
-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의 적용과정에서 표출된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반응양상
- 그림책 번역시 나타나는 제목의 변형과 그 이유
- 인물 그림책과 리더십
- 루브릭을 활용한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유아문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관련학회 학술지」와「어린이문학전문 학술지」-
- 유아 문학교육의 내용선정에 관한 연구
- 표준보육과정과 2007년 개정유치원교육과정에 반영된 유아문학교육의 의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