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의 행복 관련 요소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nalysis of Happiness Mentioned in Picture Books Recommended by Educare Guideline of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오연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0권 제1호, 23~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을 분석하여 행복과 관련된 영역이 얼마나 언급되고 있는지 밝혀 보았다. 아직 영유아의 행복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지만,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에 제시된 그림책이 영유아 보육에 널리 사용될 것이라는 예상 하에, 제시된 그림책에 행복 관련 요소들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해봄으로써 영유아의 행복관련 교육의 현실을 일부나마 밝혀보고자 하였다. 보육프로그램에서 제시한 그림책 총 454권 중 정보그림책, 전집류 및 절판도서를 제외한 172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책에는 행복의 하위 영역인 지지감이 가장 많이 언급되어 있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행복요소가 포함되었고, 그림책 당 2.13요소가 언급되어 있었다. 지지감은 표준보육과정의 ‘사회관계’영역과 직결되므로 이를 충분히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타 유능감과 향상감도 전체 그림책의 60% 정도에서 언급되고 있어 고른 언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능감의 세부영역에서는 통제감, 성취감, 자신감이 고루 언급되고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많이 언급되었다. 지지감 세부영역에서는 유대감이 가장 많으며, 조력감, 수용감 순으로 언급되었다. 향상감의 세부영역에서는 몰입감, 의욕감, 기대감이 고루 언급되고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더 많이 언급되었다. 그림책 한 권당 유능감은 1.32, 지지감은 1.90요소, 향상감은 1.06요소로 지지감의 세부요소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happiness and related fields are covered in the picture books which are recommended by "educare guideline"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Although general researches on children's happiness are still in progress, we want to shed light on reality of education about happiness by analysing how the recommended picture books contain elements related to happiness. Our analyses of the picture books showed that (1) the picture books mentioned sense of support most, (2) older get more elements related to happiness, and (3) each book mentioned 2.13 elements on average. Since sense of support is directly connected with "social relation" of the "standard educare curriculum", we concluded that social relation is well reflected. In addition, sense of efficiency and sense of improvement are mentioned in 60% of the picture books, and that lead to our conclusion that they are reasonably reflected. Three particulars of sense of efficiency, sense of control, sense of achievement, and sense of confidence are mentioned with balance, and as older audience gets more reference. Sense of relation is most mentioned, then sense of assistance, and followed by sense of support in domain of sense of support. Three particulars of sense of improvement, sense of concentration, sense of morale, and sense of hope are also referenced with balance, and older audience gets more reference. Senses of efficiency, support, and improvement are mentioned 1.32 times, 1.90 times, and 1.06 times, respectively, per book, being sense of support most mentioned field. We can expect positive effects of promoting happiness of children with wide use of the recommended books which contain elements related to happines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및 분석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