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Optimism,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해익 최혜진 김미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67~1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 성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낙관주의 성향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6개 영역 48문항으로 구성된 낙관주의 검사도구, 2개 영역 25문항으로 구성된 교사효능감 검사도구, 5개 영역 50문항으로 구성된 직무만족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연구대상 유치원 교사 전체 중 85.0%가 조금 혹은 매우 비관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 성향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낙관적인 성향이 높은 교사가 비관적인 성향이 높은 교사에 비해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교사들이 자신에게 처한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계기들을 마련해 줌으로써 높은 수준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가지고 교사로서의 역할을 보다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tendency for optimism after looking into kindergarten teachers' optimism. Based o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enhance teachers' tendency for general optimism and improve their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00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study, scales for optimism consisted of 6 domains and 48 items, for teachers' efficacy scales consisted of 2 domains and 25 items and for job satisfaction they consisted of 5 domains and 50 items. As a result of the study, 85.0% of total subjects had pessimistic tendency a little bit or much 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tendency for optimism as well. That is, teachers who have a more optimistic tendency showed higher levels of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less optimistic, hence through inspiring their tendency for optimism, teachers can perform their own roles properly with improved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연구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해 교육과정의 의미
- 만1세 영아의 그림책읽기에 나타난 행동특성
-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또래 수용도가 낮은 아동의 사회기술과 마음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대학의 유아교육관련학과 중심 지역교육지원청 관내 유치원 컨설팅 모형 개발과 적용
-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 쓰기과정변화연구
- 한국 어린이 미스터리 문학의 주제학적 특성 연구 :「어린이 과학 형사대 CSI」를 중심으로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그림책에 나타난 보살핌의 내용
-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이 유아의 사회적 덕목 수행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