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해 교육과정의 의미
이용수 2
- 영문명
- Meanings of Literacy Curriculum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혜 이지현 전홍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그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만 3세부터 만 5세 사이의 유아를 교육하는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질문을 하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해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유아기 문해교육의 목표를 초등학교 입학과 관련지어 학습준비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문해교육의 내용에 있어서는 교육내용에 대한 것 보다는 활동이나 방법에 치우쳐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방법 측면에서는 총체적 접근법에 대한 신념이 너무 강해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측면에서는 평가의 준거가 불분명 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그에 따라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가 아닌 활동 과정과 유아의 반응에 대한 평가로 치우치는 등 문해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목표-내용-방법-평가가 연결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계열성과 범위의 재구조화와 지침의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meanings of practicing literacy education. 41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early literacy education as academic readiness in relation to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the contents of literacy education, teachers’ focus was on activity or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exactly recognizing ‘what to teach.’ As for the teaching methods, while teachers held strong beliefs in whole language approach, they could not make use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tandards for evaluation were not clear in the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contents-methods-evaluation was not consistently harmonized in planning and practicing curriculum in the classroom.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structuring scope and sequence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연구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해 교육과정의 의미
- 만1세 영아의 그림책읽기에 나타난 행동특성
-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또래 수용도가 낮은 아동의 사회기술과 마음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대학의 유아교육관련학과 중심 지역교육지원청 관내 유치원 컨설팅 모형 개발과 적용
-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 쓰기과정변화연구
- 한국 어린이 미스터리 문학의 주제학적 특성 연구 :「어린이 과학 형사대 CSI」를 중심으로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그림책에 나타난 보살핌의 내용
-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이 유아의 사회적 덕목 수행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