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이 유아의 사회적 덕목 수행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Virtue Coaching using Christian Stories on Children's Ability of Social Moral Virtue and Prosocial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대현 임희수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73~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이 유아의 사회적 덕목 수행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의 덕목교육에 도움을 제공하고 이후 덕목코칭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GROW 코칭모델을 바탕으로 유아의 동기와 의지, 책임에 기여할 수 있는 단계적 덕목코칭 과정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E와 S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을 각각 20명씩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를 실시하는 비교집단으로 구성하고, 6주간 총 18회에 걸쳐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을 실시하는 것은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이야기나누기를 실시하는 것에 비해 유아의 사회적 덕목 수행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irtue coaching using christian stories on children's ability social moral virtue and prosocial behavior. Coaching is an approach focusing on willingness and activeness of learners. Accordingly, this study constructed an virtue coaching process based on GROW coaching model. To verify this problem of study, this study used an experimental study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children(20 of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of a comparison group) who were 5 years old and attended a kindergarten in Cheon-an. For the experimental group, virtue coaching using christian stories was conducted 18 times for 6 weeks, while the comparison group had story-telling using christian s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bility of social moral virtue level and the prosocial behavio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fore, it was discovered that virtue coaching using christian's stories is an effective mean in improving children’s ability of social moral virtue and prosocial behavior, an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virtue coaching using christian's stories will generalize for virtue education of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사의 낙관주의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연구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해 교육과정의 의미
- 만1세 영아의 그림책읽기에 나타난 행동특성
-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또래 수용도가 낮은 아동의 사회기술과 마음읽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지역대학의 유아교육관련학과 중심 지역교육지원청 관내 유치원 컨설팅 모형 개발과 적용
-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 쓰기과정변화연구
- 한국 어린이 미스터리 문학의 주제학적 특성 연구 :「어린이 과학 형사대 CSI」를 중심으로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그림책에 나타난 보살핌의 내용
- 기독교 동화를 활용한 덕목코칭이 유아의 사회적 덕목 수행 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