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 쓰기과정변화연구

이용수  2

영문명
The Effects of a Writing Program Using Information Picture Book and Narrative Picture Book Program on Creative Writing and Writing Change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조경선 현은자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19~14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쓰기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 36명이며, 16회기동안 유아들이 작성한 활동지는 창의적 쓰기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양적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쓰기변화는 질적 분석하였다. 양적분석은 공변량분석(ANCOVA)과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은 귀납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집단이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보다 창의적 쓰기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쓰기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쓰기의 변화는 쓰기의 내용, 쓰기의 형식, 쓰기의 구성으로 유목화 되었다. 쓰기의 내용은 그림책의 단어와 문장을 쓰기에 활용하기, 상호텍스트성으로, 쓰기의 형식은 구어체에서 문어체 형식의 쓰기로 변화, 조사와 서술어 표현의 점진적 안정으로, 쓰기의 구성은 다양한 아이디어의 사용과 풍부한 문장 구사로 각각 유목화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 writing program and the type of picture book in the program on creative writing for young children. Creative writing for spontaneous expression and problem solving(This is an incomplete sentence and I’m not sure what you want to say so I can’t correct it). The subjects were 24 children aged 5 in a child daycare center in Seoul. The writing test used was a creative test. Creative writing was analyzed by quantitative method, ANCOVA and T-test. The child responses from the writing proces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 inductive analysi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program affected on creative writing positively. In the subscale of creative writing(fluency, flexibility, novelty), the group with informational picture books made progress more in fluency and novelty than the group with narrative picture books. Secondly, the shifts in the writing program were categorized into writing content, writing organization and writing convention. Writing content shifts included the use of the words and sentences of the picture book and the intertextuality. Writing conventions were shifts from spoken words to written words and better use of prepositions and verbs. In writing organization, children gradually used diverse ideas and wrote the sentences specifical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경선,현은자. (2012).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 쓰기과정변화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 (2), 119-147

MLA

조경선,현은자. "정보그림책과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지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창의적 쓰기와 쓰기과정변화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2(2012): 119-1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