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간 반응의 차이 -「고양순」「양초귀신」「수염할아버지」「손 큰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이용수  0

영문명
The difference of responses to the humors in picture story books between the teachers and children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임영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6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간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우리나라 아동문학상을 수상한 유아용 그림이야기책 중에서 유우머가 풍부한 그림이야기책으로 평가되는(신혜선, 2002) 「고양순」 「양초귀신」 「수염할아버지」 「손 큰 할머니의 만두 만들기」의 4권을 선정하였으며, 30명의 유아와 30명의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 간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유아와 교사가 모두 높게 반응하는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 내용과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유아와 교사간의 반응의 차이가 나타난 장면을 분석한 결과, 유아들이 교사에 비해 의미 있게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 장면의 수가 교사의 경우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유아들이 반응한 유우머의 유형을 살펴보면 엉뚱함, 기대의 불일치, 리듬과 반복을 수반하는 과장, 재미있는 그림묘사, 고정관념의 탈피, 또는 창의적 변형, 재미있는 언어 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소수의 장면에만 잘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내적 상상력을 필요로 하거나 이야기의 이면적 숨은 뜻을 이해할 때 발생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야기의 절정부분에 해당되는 장면에서는 유아와 교사는 모두 높은 반응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ors of 4 picture story books, officially evaluated as having plenty humors, that 30 children had responded to. The conten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humors of the picture story books that the teachers and children has responded to, 2. The difference of responses to those humors between the teachers and children. After analyze the scenes with a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children, The quantity of scenes with a significant high response of the children is far more than that of the teachers. The type of humors that the children has responded to is proved to be extraordinaries, correspondence of expectation, exaggeration accompanied with a rhythm and repetition, interesting pictures, breaking from a fixed idea, creative transformation and interesting words and so on. The teachers responded to only few scenes, The characteristic of the scenes belong to a type of humors which requires inner imaginative power or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s behind the story. Both the teachers and children showed a high responses to the peak scenes of the stor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영심. (2005).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간 반응의 차이 -「고양순」「양초귀신」「수염할아버지」「손 큰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 (1), 1-21

MLA

임영심. "그림이야기책의 유우머에 대한 유아와 교사간 반응의 차이 -「고양순」「양초귀신」「수염할아버지」「손 큰할머니의 만두 만들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6.1(2005):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