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반복적 읽어주기에 따른 유아의 문학적 반응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 to Repeated Reading of Picture Book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대균 백경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6권 제1호, 93~1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3-5세를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그림책을 동일한 유아에게 반복적으로 읽어주고, 그 횟수에 따라 유아가 어떠한 문학적 반응을 보이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그림책 으로의 재방문을 통하여 그림책 속에 포함된 문학적 요소들을 단편적에서 종합적으로, 또는 심층 적으로 이해하거나 새로운 발견을 통해 글의 맥락을 엮어갔다. 유아들의 문학적 반응은 개별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유아들은 읽어주기의 횟수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한번읽기에서 얻 을 수 없는 긍정적인 혜택을 얻는 공통점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literary response as read a picturebook repeatedly. It results that children have more chances to read picturebooks, compile a communication of story through integration of literary functions from the fragmentary, and obtain a fascinated understanding and more discovery. The literary response of young children shows diversity one after another, but the most of children have a positive advantage commonly as increase the number of reading and as increase the age of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