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읽기의 교육적 의미: 『집으로』를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An Pedagogical Meaning of Film-viewing: in the case of 『Going Home』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전은희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6권 제2호, 165~20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7.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화는 대중문화의 대표적 산물의 하나이다 영화산업의 성장과 함께 영화관람은 일상적 체험으로 일반화되었으며 이와 함께 영화에 대한 많은 담론들이 생산되어 왔다. 영화에 대한 관심은 교육학 역시 예외가 아니다 지금까지 영화에 대한 교육학의 담론은, 주로 영화의 내용에 기초하여 그 교육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영화에 대한 교육적 이해는 영화와 관계의 상호작용이라는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더해 본 연구는 영화 「집으로」 를 중심으로 영화 읽기의 교육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화 『집으로』 논 할머니와 상우의 관계회복이라는 줄거리를 통해 인간주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편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에 기초하여 지배와 피지배의 이데올로기를 경당화하고 있다 관객이 대중영화로서의 「집으로」 가 내재하고 있는 이데올로기를 얽어내는 것은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하나의 성찰적 경험 이라고 할 것이다. Film is one of the most popular cultural products. As film-industry expands, film-viewing becomes a commonplace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much discourses on film has been made. The interest on Film may not be an exclusion in the case of pedagogics. Until now, discourses of pedagogics on Film, mainly has been focused on the search of educational meaning based on the story or content. But,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Film, in a way,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viewer and film, that is, film-reading On the basis of this problematique, this thesis has studied an educational meaning of film-viewing through 『 Going Home 』. 『 Going Home 』, on the one hand, gives an human message and, on the other hand, justifies an ideology of patriarchism. It may be a meaningful. educational trial for the Film-viewer to find ideological meanings of the 『 Going Home 』.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분석의 틀
III. 『집으로』, 교육적으로 읽기
IV.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은희. (2003).영화읽기의 교육적 의미: 『집으로』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 (2), 165-204

MLA

전은희. "영화읽기의 교육적 의미: 『집으로』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2(2003): 165-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