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친구> 영화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의미 해석

이용수  0

영문명
Decoding of the Meanings of the Film 'Friends' by the Audience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박길자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6권 제2호, 33~5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7.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용자가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해 가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것은 수용자인 학생들을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민주적 시민으로 육성하려는 교육적 목적을 탐색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영화 〈친구〉를 선정하여 수용차들이 이 영화에 대한 해독의 관점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툴은 홀이 제시하고 있는 선호적 해독, 교섭적 해독, 저항적 해독의 세 가지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흉의 가설은 수용자들이 누리는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수용자들이 미디어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맥락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에서 마디어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수용자가 비판적 사고를 가 지고 비디아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으며, 자기와 견해가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This easy is to describe how audience decodes media text. Audience decoding is related to the theory of cultural studies. On that theory, Stuart Hall insists three hypothetical decodings of the meanings of media text. The first is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This is the case that audience decodes the meaning of the message in terms of the preferred decoding. The second one is negotiated decode. It includes a mixture of adaptive and oppositional elements. The third one is oppositional decoding. It is possible for audience to understand the connotative meanings of the media text perfectly. But Hall's model is criticized that three hypothesis are missing the code of pleasure. Therefore, I focus on the media text in terms of Hall' three hypothetical decodes and the code of pleasure. It is shown that audience do not accept media next blindly but decode the text actively and creatively. It tells us that audience try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 creative thinking.

영문 초록

목차

I. 문제제기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문제 및 연구대상
IV. 분석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길자. (2003).<친구> 영화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의미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6 (2), 33-54

MLA

박길자. "<친구> 영화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의미 해석." 교육인류학연구, 6.2(2003): 3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