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를 통해 본 교육 현실 읽기: "죽은 시인의 사회"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Literary Education by Film: Dead Poets Society and its Enemie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정재찬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6권 제2호, 225~26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7.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 텍스트가 드러내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분석적으로 읽어냄으로써 우려 교육 현실에 대한 하나의 해석적 텍스트를 생산해 내는 데 있다. 이에 먼저 영화 속 키팅 선생이 이상적 교사상으로 인식되는 이유를 밝히고자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해방을 꿈꾼 키팅은 구원자이자 교사로서의 예수 이미지에 매우 근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해 보면, 그는 지나치게 낭만주의적이었다. 그는 주체와 개인 의지에 대한 강렬한 믿음을 전제로 하여 교육의 의미를 개성의 해방 쪽으로만 겸사해서 이해하는 태도를 드려내며, 이론에 대한 저항을 보이지만, 이로 인해 스스로가 또 본질화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제자들은 기존 모델로부터 해방되어 새로운 모텔, 곧 키팅의 권위 체계 속으로 재편입되고, 결국 낭만과 현실의 징계에서 비극이 발생하고 만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at enhancing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the full spectrum of the text. "Dead Poets Society", and reflecting upon how its impact would spillover into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our educational system. A common reaction to this movie is one of admiration and appreciation that Keating in DPS may indeed be a hero and an ideal teacher. Why? It` s because he is the picture of Jesus Christ as the teacher and savior. He was seen as an emancipatory teacher freeing his students from a conservative viewpoint. He may well have been a romanticist with his radical teaching methods and wjll to challenge the traditional knowledge. But, so obsessed by the idea of emancipatory education that he resisted to theory itself and strongly demanded his students to explore their own individuality and challenged them in their traditional thinking, yet he himself regressed to be naturalized. Therefore, his students could be liberated from the authority of the traditional model, but they only transferred to the another model, that is, Keating's authority. Eventually, their transformation left a tragic consequence, because the reality still had a power to prevent them from resisting to the traditional order and authority.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키팅은 누구인가?
III. 키팅은 제자들을 어떻게 가르쳤는가?
IV. 키팅의 제자는 어떻게 되었는가?
V. 결론 및 보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재찬. (2003).영화를 통해 본 교육 현실 읽기: "죽은 시인의 사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 (2), 225-260

MLA

정재찬. "영화를 통해 본 교육 현실 읽기: "죽은 시인의 사회"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2(2003): 225-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