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혁신주의 시대 대기업의 대두와 법의 역할
이용수 33
- 영문명
- The Rise of Large Corporations and the Role of Law in the Progressive Era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심인보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0집, 317~34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 전환기 미국의 의회와 대법원은 기업과 관련한 법적 원칙을 수립하면서 대기업의 부상을 위한 법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미국의 법조계는 기업이 자본주의 시장의 요구에 적응하도록 지원하면서, 미국 연방 시스템 내에서 기업 성장의 법적 권리를 부여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생성된 법적 추론은 기업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지원을 제공했다. 19세기 말 산업과 금융 분야에서 기업 권력이 부상하는데 도움이 될 헌법 수정조항 제14조에 따라 기업이 “사람”(person)이 되면서 기업은 보다 강화된 법적 지위를 획득하였다. 한편, 19세기 말 대기업은 치열한 경쟁을 회피하기 위해 트러스트라는 수단을 동원하여 시장을 독점하였다. 그 결과 대중 사이에 대기업을 특권과 동일시하는 반독점의 정서가 만연하게 되었다. 연방대법원은 셔먼 트러스트 금지법에 대한 해석 과정에서 경쟁의 기회와 계약의 자유라는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기업 권력을 제한하면서 동시에 성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했다. 결국 19세기 초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전제 속에서 잉태된 반독점의 정서는 약화되었다.
영문 초록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U.S. Congress and Supreme Court established legal principles regarding corporations, thereby establishing the legal foundation for the rise of large corporations. The American legal profession facilitated the adaptation of corporations to the demands of capitalist markets, thereby conferring upon them the legal right to expand within the U.S. federal system. The legal reasoning generated in this process also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ideological support of corporations. The Fourteenth Amendment granted corporations enhanced legal status, which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orporate power in industry and finance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Meanwhile, in the late 19th century, large corporations utilized trusts to monopolize markets in order to circumvent intense competition. This resulted in a pervasive sentiment among the public that equated large corporations with privilege, which in turn gave rise to a strong antitrust movement.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Sherman Anti-Trust Act, the Supreme Court reaffirmed the values of opportunity for competition and freedom of contract, thereby providing a means to limit corporate power while allowing it to grow. Eventually, the antitrust sentiment that had been conceived in the premises of liberal ideology in the early 19th century waned.
목차
Ⅰ. 서론
Ⅱ. 헌법과 기업 권력의 부상
Ⅲ. 반독점법의 발전: 시장에서 기업 권력의 규제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唐高宗咸亨3年(672)歸順縣主告身」 考釋
- 혁신주의 시대 대기업의 대두와 법의 역할
- 1960년대 대일무역 불균형 개선 교섭과 양국 경제의 접근
- 唐代 契丹人 李範 墓誌銘 검토
- 金의 흥기와 고려 擊毬
- “헌정에 새로운 옷을” - 존 셀월의 『자연의 권리』(1796)에서 재산과 시간성 -
- 원 간섭기 탐라 귀속 문제와 ‘제주 방물’ 진헌
- 한암(閑庵) 보환(普幻)의 행적과 서산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수보 배경
-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 ‘樂浪望族’ 李仁德 出自의 재검토
- 1920년대 미국 노동운동과 혁신주의의 어긋난 조우: 1926년 철도노동법(Railway Labor Act of 1926)을 중심으로
- 『舊唐書』ㆍ『新唐書』 王毛仲傳 역주
- 동부유라시아론의 저서 3종 소개
- 北朝ㆍ隋唐의 여러 國家와 共同體倫理
- 王毛仲과 唐玄宗 政權
- 동아시아 세계론에서 유라시아론을 조망하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