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이용수 19
- 영문명
- Organizations and Farmer-Labour Movement in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최보민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0집, 87~12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과 노농운동을 설명하는 것이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3년 3월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 전반을 관장하고 새로운 공산당 결성을 담당하기 위해 만들어진 고려총국의 국내 조직이다. 1923년 3월 설립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서울을 비롯한 각 지방에 세포단체를 마련하며 조직화를 진행했다.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에서 두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한반도 남부지방에 집중적인 조직화 활동이 전개됐다. 두 번째는 조직화 사업의 주요 대상이 각 지역 노농단체였다. 이러한 특징은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운동은 국내의 무산계급에 기반을 두고 전개해야 한다는 지침을 전달한 1922년 12월 코민테른 결정서에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조직화 활동을 통해 획득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1923년 9월 전국적 노농단체 연합체인 ‘조선노농총동맹’ 결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식민권력의 강력한 압박으로 실패했다. ‘조선노농총동맹’ 결성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이후 고려총국 내지부는 1924년 1월부터 남부지방의 노농단체를 중심으로 연맹체 결성을 추진했다. 이때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남선 단결론’을 주장했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을 통해서 서울파 공산그룹의 영향력을 차단하고 자신들의 주요한 세력 기반이었던 한반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운동을 전개하려고 했다. 또 고려총국 내지부의 ‘남선 단결론’은 그들의 조직결성 정책, 코민테른과의 관계, 소작문제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운동론 등에 영향을 받았다. 고려총국 내지부는 ‘남선 단결론’에 기반해 1924년 3월 8일 대구 노동공제회 회관에서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 결정된 중요한 사항 중 하나는 전조선노농단체 연합에 관한 것이다.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에서도 고려총국 내지부 관계자를 중심으로 ‘남선 단결론’이 제기됐다. 남선노농동맹은 창립총회 이후 곧바로 전국의 노농단체 연합을 위한 교섭위원회를 결성하고 서울파 공산그룹을 강하게 압박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in 1923-24,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Farmer-Labour Movement.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was the domestic organization of the Korean General Bureau, created in March 1923 to oversee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and to take charge of the formation of the new Communist Party. After its establishment in March 1923,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organized itself by establishing cell groups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Two characteristics can be seen in the organization of the Domestic Branch of Korean Bureau. The first is that organizing activities were concentr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is that the main targets of the organizing work were local farmer-labor organizations. These feature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mintern Decision of December 1922, which directed that the socialist movement in colonial Korea should be based on the domestic working class.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used the networks it had gained through its organizing activities to attempt to form a nationwide feder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in September 1923, but it failed due to strong pressure from the colonial power. After the failed attempt to form the ‘Chosun Farmer-Labour General Confederation’,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promoted the formation of a federation centered on farmer-labour organizations in the southern provinces from January 1924. At this time,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advocated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centered on the southern provinces. Through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sought to block the influence of the Seoul Communist Group and develop a movement centered o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their main base of power.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s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organizational unity polic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mintern, and their movement theory, which emphasized the issue of sharecropping. The Domestic Branch of the Korean Bureau held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Korean Farmer-Labour Confederation on March 8, 1924, at the Daegu Labor Mutual Aid Society Hall based on the South Korean Unity Theory.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s made at the founding congress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was to unite farmer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t the founding meeting of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the ‘South Chosun Unity Theory’ was raised by officials from the Goryeo General Bureau. The South Chosun Farmer-Labour Confederation immediately formed a bargaining committee for the unification of farmers’ organizations across the country after the founding meeting and put strong pressure on the Seoul Communist Group.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조선노농총동맹’ 결성 시도
Ⅲ. 1924년 초 남부지역 노농단체의 연대와 ‘남선 단결론’
Ⅳ. 남선노농동맹 창립총회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唐高宗咸亨3年(672)歸順縣主告身」 考釋
- 혁신주의 시대 대기업의 대두와 법의 역할
- 1960년대 대일무역 불균형 개선 교섭과 양국 경제의 접근
- 唐代 契丹人 李範 墓誌銘 검토
- 金의 흥기와 고려 擊毬
- “헌정에 새로운 옷을” - 존 셀월의 『자연의 권리』(1796)에서 재산과 시간성 -
- 원 간섭기 탐라 귀속 문제와 ‘제주 방물’ 진헌
- 한암(閑庵) 보환(普幻)의 행적과 서산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수보 배경
-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 ‘樂浪望族’ 李仁德 出自의 재검토
- 1920년대 미국 노동운동과 혁신주의의 어긋난 조우: 1926년 철도노동법(Railway Labor Act of 1926)을 중심으로
- 『舊唐書』ㆍ『新唐書』 王毛仲傳 역주
- 동부유라시아론의 저서 3종 소개
- 北朝ㆍ隋唐의 여러 國家와 共同體倫理
- 王毛仲과 唐玄宗 政權
- 동아시아 세계론에서 유라시아론을 조망하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