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정에 새로운 옷을” - 존 셀월의 『자연의 권리』(1796)에서 재산과 시간성 -
이용수 42
- 영문명
- “To New-dress the Constitution”: Property and Temporality in John Thelwall’s The Rights of Nature (1796)
- 발행기관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저자명
- 김철기
- 간행물 정보
- 『동국사학』제80집, 285~3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프랑스혁명기 영국의 개혁가 존 셀월은 재산을 노동으로 정의한다. 이것은 재산을 토지로 정의하던 18세기 영국의 지배적인 전통과 매우 다른 방식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자연의 권리』(1796)에서 재산을 노동으로 정의한 사실에 주목한 것과 달리, 본고는 재산을 시간성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과거와 현재에서 재산의 특징을 살펴본다. 셀월은 고트족에서 유래된 잉글랜드의 오래된 자유의 역사적 흐름과 단절하고 그 대안으로 정치 사회에서도 지속되는 자연의 권리를 제시한다. 그러한 자연법 전통에서 그는 과거로부터 재산의 기원을 논의하며 노동의 가치를 정당화하고, 현재로 향할 때는 재산의 불평등화 과정을 비판하지만 노동자의 이익과 비례한 자본가의 이득도 옹호한다. 그는 기원으로서 정당성을 가지는 과거와 과거보다 진보한 현실 모두를 활용한다. 그러한 전략은 자연이 만들어낸 문명에 ‘옷을 입힌다’는 셀월의 은유로 축약될 수 있다.
영문 초록
John Thelwall, the leading politician among British popoular politics in the age of the French Revolution, defined property as labor. This wa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and dominant view that real property was land. While previous studies discussed property along in his The Rights of Nature (1796), this article aime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and temporality,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property betwee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Thelwall established a new temporality by breaking with Englishmen’s rights derived from the Goths, instead presenting the rights of nature. He, looking back to the past, justified the importance of labor in the discussion on the origin of property and, looking towards the present, criticized the inequality of property but championed the profits of capitlists in proportion to those of laborers. In other words, he drew upon the legitimacy of the past and adapted his view to the progressed reality of the present. This strategy can be summarized, as in his metaphor, as cloathing the civiliz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고트족과 자연법
Ⅲ. 과거의 재산과 노동
Ⅳ. 현재의 불평등과 자본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唐高宗咸亨3年(672)歸順縣主告身」 考釋
- 혁신주의 시대 대기업의 대두와 법의 역할
- 1960년대 대일무역 불균형 개선 교섭과 양국 경제의 접근
- 唐代 契丹人 李範 墓誌銘 검토
- 金의 흥기와 고려 擊毬
- “헌정에 새로운 옷을” - 존 셀월의 『자연의 권리』(1796)에서 재산과 시간성 -
- 원 간섭기 탐라 귀속 문제와 ‘제주 방물’ 진헌
- 한암(閑庵) 보환(普幻)의 행적과 서산 개심사 아미타여래좌상의 수보 배경
- 고려총국 내지부의 조직화와 노농운동
- ‘樂浪望族’ 李仁德 出自의 재검토
- 1920년대 미국 노동운동과 혁신주의의 어긋난 조우: 1926년 철도노동법(Railway Labor Act of 1926)을 중심으로
- 『舊唐書』ㆍ『新唐書』 王毛仲傳 역주
- 동부유라시아론의 저서 3종 소개
- 北朝ㆍ隋唐의 여러 國家와 共同體倫理
- 王毛仲과 唐玄宗 政權
- 동아시아 세계론에서 유라시아론을 조망하다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